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전동킥보드 관련 연습면허 취소 행정심판 재결 사례

2025.08.11 이혜정 운전심판과장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안녕하십니까? 국민권익위원회 운전면허심판과장 이혜정입니다.

국민권익위원회 소속 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위법하거나 부당한 행정처분으로부터 국민의 권익을 보호하고 누구나 쉽게 권리 구제를 받을 수 있도록 행정심판 제도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제2종 보통 연습면허를 취득하고 전동킥보드를 운전한 사건에서 연습면허 준수 사항 위반을 이유로 해당 연습면허를 취소한 처분은 적법·타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먼저, 사건 개요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A 씨는 제2종 보통 연습면허만 취득한 채 공유 전동킥보드를 운전하던 중 경찰에게 적발됐습니다. 경찰은 A 씨가 제2종 보통 연습면허로 운전할 수 없는 전동킥보드를 운전하여 연습면허의 준수 사항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A 씨의 연습면허를 취소했고 무면허 운전으로 범칙금 10만 원으로 부과했습니다.

A 씨는 전동킥보드를 운전하기 위해서 제2종 원동기 장치 자전거 운전면허가 필요한 줄 몰랐고 학업과 이동권에 제한이 생긴다는 이유로 연습면허 취소 처분을 취소해 달라고 행정심판을 청구했습니다.

제2종 보통 연습면허로는 승용자동차, 승차 정원 10명 이하의 승합자동차, 적재 중량 4t 이하의 화물자동차만 운전할 수 있어 전동킥보드, 오토바이 등 원동기 장치 자전거를 운전할 수 없습니다.

전동킥보드는 개인형 이동장치 중 하나로 최소 제2종 원동기 장치 자전거 운전면허를 취득해야 운전할 수 있으며 제2종 원동기 장치 자전거 운전면허는 만 16세 이상이 되어야 취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2종 원동기 장치 자전거 운전면허를 취득하지 않고 전동킥보드를 운전하면 무면허 운전으로 단속 대상이 됩니다.

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A 씨가 제2종 보통 연습면허로는 운전할 수 없는 전동킥보드를 운전하여 연습면허 준수 사항을 위반한 사실이 인정되므로 해당 연습면허 취소 처분이 위법·부당하다고 할 수 없다고 재결하였습니다.

이번 재결은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이동장치의 이용자가 빠르게 늘어나는 상황에서 필요한 운전면허를 취득하는 등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한 사례라고 할 것입니다.

전동킥보드에 대한 유의사항을 추가적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음주 후 전동킥보드를 운행하다가 단속되면 범칙금 10만 원이 부과되고 혈중 알코올농도에 따라 운전자가 가지고 있는 모든 운전면허가 취소 또는 100일 동안 정지되게 됩니다.

또한, 전동킥보드는 1인만 탑승할 수 있기 때문에 1인을 초과하여 탑승하면 범칙금 4만 원, 안전모 미착용 시 범칙금 2만 원이 부과되는 등 법규 위반 단속 대상이므로 관련 법규를 준수하셔서 운전자 본인과 다른 사람들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이상으로 브리핑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끝>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