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5년 7월 고용동향

2025.08.13 공미숙 사회통계국장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안녕하십니까?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입니다.

지금부터 2025년 7월 고용동향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1쪽, 전체 요약입니다.

OECD 비교 기준 15~64세 고용률은 70.2%로 전년동월대비 0.4%p 상승하였고, 청년층 고용률은 45.8%로 전년동월대비 0.7%p 하락하였습니다.

실업률은 2.4%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하였고, 청년층 실업률은 5.5%로 전년동월과 동일하였습니다.

취업자는 2,902만 9,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7만 1,000명 증가하였습니다.

15~64세 고용률은 40대, 30대 등에서 상승하여 전년동월대비 0.4%p 상승하였고, 실업률은 60세 이상, 30대에서 하락하여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하였습니다.

2쪽입니다.

취업자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농림어업, 건설업, 제조업 등에서 전년동월대비 감소하였습니다.

종사상 지위별로 살펴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31만 9,000명, 임시근로자는 1만 6,000명 각각 증가하였으나, 일용근로자는 4만 8,000명 감소하였습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2만 5,000명,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만 1,000명, 무급가족종사자는 5만 1,000명 각각 감소하였습니다.

실업자는 60세 이상, 30대 등에서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1만 1,000명 감소하였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재학·수강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쉬었음, 가사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8,000명 증가하였습니다.

다음은 7쪽, 본문입니다.

15세이상인구 및 경제활동인구를 살펴보면 2025년 7월 15세이상인구는 4,575만 8,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6만 8,000명 증가하였고, 경제활동인구는 2,975만 4,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6만 명 증가하였습니다.

8쪽입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65%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하였습니다.

다음은 9쪽, 취업자 동향입니다.

2025년 7월 15세이상 취업자는 2,902만 9,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7만 1,000명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63.4%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하였습니다.

15~64세 고용률은 70.2%로 전년동월대비 0.4%p 상승하였습니다.

10쪽입니다.

연령계층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60세이상에서 34만 2,000명, 30대에서 9만 3,000명 각각 증가하였으나, 20대에서 13만 5,000명, 40대에서 5만 6,000명, 50대에서 4만 9,000명 각각 감소하였습니다.

고용률은 40대, 60세이상, 30대에서 상승하였습니다.

12쪽입니다.

직업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사무종사자, 서비스종사자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농림어업숙련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 관리자 등에서 감소하였습니다.

13쪽입니다.

취업시간대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36시간미만 취업자는 687만 5,000명으로 6만 6,000명 증가하였고, 36시간이상 취업자는 2,165만 5,000명으로 6만 8,000명 증가하였습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8.2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0.2시간 감소하였습니다.

다음은 14쪽, 실업자 동향입니다.

2025년 7월 실업자는 72만 6,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만 1,000명 감소하였고, 실업률은 2.4%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하였습니다.

15쪽입니다.

연령계층별 실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60세이상, 30대 등에서 감소하였습니다.

교육정도별 실업률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중졸이하에서 0.1%p , 대졸이상에서 0.1%p 각각 하락하였습니다.

16쪽입니다.

과거 취업경험 유무별 실업자의 경우 취업 무경험 실업자는 3만 8,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8,000명 증가하였으나, 취업 유경험 실업자는 68만 7,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만 9,000명 감소하였습니다.

다음은 비경제활동인구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2025년 7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600만 4,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8,000명 증가하였습니다.

18쪽입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연령계층별 '쉬었음' 인구는 60세이상, 30대 등에서 전년동월대비 증가하였으나 40대 등에서 감소하였습니다.

구직단념자는 39만 6,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만 5,000명 증가하였습니다.

다음은 19쪽, 고용보조지표입니다.

2025년 7월 전체 고용보조지표3은 8.6%로 전년동월과 동일하였고,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16.1%로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하였습니다.

이상 설명을 마치고 질문 있으시면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답변]
※마이크 미사용으로 확인되지 않는 내용은 별표(***)로 표기하였으니 양해 바랍니다.

<질문> 10페이지에 취업자 및 고용률 보면 지금 40대와 50대 취업자 수가 줄었잖아요. 그런데 여기는 계속 늘어왔던 연령대였는데 감소가 나타난 이유와 그다음에 20대도 보면 '쉬었음'이 지금 7월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라고 나오던데 그 원인을 어떻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지금 40대에서는 인구가 줄었기 때문에 고용률하고 함께 보셔야 됩니다. 고용률은, 40대의 고용률은 올라갔고요. 그래서 취업자 수를 볼 때 취업자 증감을 볼 때는 인구를 먼저 보고 같이 봐줄 필요가 있고, 그래서 그런 부분들도 다 감안한 게 고용률이기 때문에 고용률을 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쉬었음' 인구가 역대 최대인가요, 지금? 역대 최대, 규모가?

<질문> ***

<답변> 20대가 역대 최대라고요, 규모가?

<답변> (관계자) ***

<답변> 그 부분은 저희가 지금 체크를 해봐야 될 것 같습니다. 역대 최대인지, 7월 기준으로.

<질문> ***

<답변> 여기 7월 기준 역대 최대, 20대에. 지금 '쉬었음'이 20대에는 규모가 크게 나타나는 게 이전에도 설명드렸던 게 지금 육아나 가사 이런 쪽이 줄어들면서 비경제활동인구 내에서 육아·가사 쪽이 '쉬었음'으로 넘어가는 그런 경향성은 보이고 있거든요. 그런데 그 부분을 차치하고라도 지금 역대 최대 부분에서 딱 이거다, 이렇게 설명드리기는 쉽지는 않은 것 같고, 왜냐하면 저희가 이 조사 표 자체가 '쉬었음'이 마지막 항목이기 때문에 이걸 더 분석할 수 있는 부분이 없거든요.

그래서 이 부분을 경향성, 트렌드를 가지고 살펴봐야 될 부분인 것 같습니다. 조금 깊이 분석해봐야 될 부분인데 전반적으로 봤을 때는 청년층에서 예전에 육아나 가사 쪽으로 비경제활동인구에 잡히던 인구들이 대체로 '쉬었음'으로 많이 넘어가는 경향은 보이고 있습니다.

<질문> 하나만 더 여쭤볼게요. 폭염이나 폭우 관련돼서 그 영향을 보려면 어떤 지표를 보면 될까요?

<답변> 날씨의 영향을 받는 업종, 농림어업이 대표적이고요. 그 이외에도 건설업도 사실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업종이긴 한데 이것을 바로 연결해서 상관관계를 딱 볼 수는 없으나 상식적으로 봤을 때 날씨의 영향을 받는 업종이라고 보여지고, 그래서 7월에 날씨 폭염·폭우가 지금 농림어업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지고요.

건설업 부분은 전반적으로 지금 구조적으로 건설업이 취약한 상황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날씨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라고 말씀드리기는, 저희 자료 가지고는 설명드리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질문> ***

<답변> 총평 하면서 말씀드리...

<질문> ***

<답변> 50대는 꼭 농림어업만은 아니기 때문에 그렇게 설명...

<질문> ***

<답변> 네, 50대가 마이너스인 부분은 지금 50대 연령층에서 주로 있는 업종인 건설업이 지금 좋지 않기 때문에 그 영향을 받고 있고, 그리고 지금 농업도, 농림어업에서도 지금 50대가 영향을 받고 있고, 그리고 사업시설 서비스업 이런 쪽에서도 영향을 받고 있거든요.

그래서 건설업하고 사업시설이 지금 계속 안 좋은 흐름에서 50대가 영향을 받고 있는데 그에 더해서 지금 농림어업도 영향을 받은 부분이 있다, 이렇게 설명드릴 수 있겠습니다.

<질문> 그리고 하나만 더, 숙박·음식업도 좀 크게 숫자가 빠졌는데요. 이것도 기상 영향이 있었다고 보면 될까요?

<답변> 아니요. 그러니까 기상이라기보다는 숙박·음식점업은 지금 3개월째 감소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지금 주로 음식·주점업에서 주로 감소가 일어나고 있고요. 이런 부분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고, 지금 또 이 7월 조사가 소비쿠폰이 발행되기 전에 조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이후 부분은 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질문> ***

<답변> 지금 건설업은 15개월 연속, 제조업은 13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는데 관련 업황이, 지금 관련 업종의 업황이 좋지 않기 때문에 지금 감소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후 상황들은 여러 가지 변동 요인들이 있기 때문에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더 이상 질문 없으시면 총평하고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7월 고용동향 총평입니다. 취업자는 지난달에 이어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실업자는 감소한 반면 비경제활동인구는 증가하였습니다.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17만 1,000명 증가하였는데 산업별로 보면 보건·복지, 전문·과학, 금융·보험에서 증가를 주도하였고, 지위별로는 상용직·임시직에서, 연령별로는 60세이상, 30대에서 증가하였습니다.

실업자는 60세이상, 30대에서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1만 1,000명 감소하였고, 비경제활동인구는 60세이상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비 8,000명 증가하였습니다.

참고로 7월 고용률은 전체 고용률과 15~64세 고용률 모두 7월 기준 최고 수준이고, 실업률은 7월 기준으로 최저 수준입니다.

이상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끝>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