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차 강국 도약을 위한 범정부 전략 마련
- 주행거리 500km 이상의 전기차 개발, 충전소 대폭확대로 전기차 시대 조기개막 -
- 핵심기술개발 ․ 스마트 인프라 집중구축으로 2022년 완전 자율주행 기반마련 -
- 미래차 분야, 향후 5년간 민관합동 35조원 투자, 금년 3,500명 채용 - |
□ 정부는 2.2(금) 10:20, 판교 기업지원 허브에서 자동차 관련 산․학․연 관계자 50여명과 함께 ‘미래차 산업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ㅇ 이날 간담회에서 산업부는 전기․자율차 등 미래차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보고하였으며,
ㅇ 국토부는 2020년 자율주행차 조기 상용화와 2022년 완전자율주행 기반 마련을 위한 구체적 실천계획인 「자율주행 스마트교통시스템 구축방안」을 보고하였다.
< 보고 주요내용 >
(전기차)
□ 우선, 전기차의 약점인 주행거리와 충전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ㅇ 1회 충전으로 서울에서 부산까지(500km 이상) 문제없이 달릴 수 있는 500km 이상 전기차와 속도가 2배 이상 빠른 충전기술(슈퍼차저)을 개발한다.
- 급속 충전소도 대형마트 등 주요 이동거점을 중심으로 매년 1,500기씩 설치해 ‘22년에는 전국 주유소(1만2천개)와 비슷한 수준인 1만기까지 확충한다.
ㅇ 금년 전기차 구매 보조금 조기 소진 시 추가 예산 확보를 추진하는 한편, 내연차와 가격차를 감안해 ‘22년까지 보조금 제도를 유지할 계획이다.
ㅇ 이와 함께, 환경개선 효과가 큰 버스, 택시, 소형트럭 등을 전기차로 집중 전환을 추진한다. 금년 중 5개 내외의 지자체를 선정, ‘19년부터 연평균 10%씩 교체해 ’30년까지 100% 전기차로 전환한다.
ㅇ 아울러,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전기차 저장에너지를 전력망에 연결하는 사업(V2G, Vehicle to Gird) 등 전기차 기반 서비스 실증도 금년부터 추진하기로 하였다.
(자율차)
□ 자율주행 기술력 확보를 위해 핵심부품 국산화, 전문인력 양성, 표준화를 추진한다.
ㅇ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라이다, 영상센서 등 핵심부품을 국산화하고, 5G 기반 자율주행 통신기술도 개발한다.
ㅇ 석박사급 R&D 전문인력 양성 규모를 작년 4개 대학에서 금년 7개 대학으로 확대하는 한편, 자율주행 국가표준도 ‘17년 93종에서 ‘21년 200종까지 확대하고, 국제 표준 논의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 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케이-시티(K-City)’를 올해 내로 완공하여 국내외에 개방한다.
* 32만㎡ 규모로 고속도로, 도심, 교외, 주차시설, 커뮤니티의 5개 실제환경 재현(화성)
ㅇ 초고속․대용량 5G 통신시설을 함께 구축하며, 향후 눈․비․안개 등 기상재현시설도 설치하여 K-City를 고도화해나갈 계획이다.
ㅇ 한편, 다양한 상황․환경의 주행정보를 공유하는 데이터센터도 올해 내로 구축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딥러닝 기술개발을 촉진한다.
□ 실제 도로에서 기술성능과 다양한 서비스 모델을 평가할 수 있도록 대규모 자율주행 실증단지도 조성한다.
ㅇ 금년 중 산업융합촉진법을 개정해 2곳 내외에 각종 규제를 탄력적으로 적용하고, 추후 관련 인프라 구축과 기업․연구소 유치도 추진한다.
□ 자율주행에 필수적인 스마트 인프라를 전국 고속도로 등에 구축하여 완전자율주행의 기반을 마련한다.
ㅇ 2022년까지 전국 고속도로 5천km를 스마트화하여 실시간으로 주변 정보를 자율주행차에 제공하고 차량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 또한 서울․제주를 시작으로 주요 도심에도 스마트도로를 구축하여 향후 자율주행 대중교통 및 공유경제 도입을 준비한다.
ㅇ 자율주행의 기초자료가 되는 정밀도로지도는 정부와 민간이 함께 전국 고속도로, 주요 도심 등 5,500km를 2020년까지 조기 구축한다.
* 정밀도로지도는 계획부터 최종제작까지 민간과 함께 구축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제작된 약 1,350km 구간은 약 290여개 업체에 무상으로 제공하였다.
- 첨단 정밀도로지도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차 도입 후 일반차량과의 안전한 교통관리를 위해 실시간 교통관제시스템도 구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