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김경선 차관, 디지털 성범죄 지역 특화상담소 방역 점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김경선 차관, 디지털 성범죄 지역 특화상담소 방역 점검

- 4일(수), 충남 디지털성범죄 지역 특화상담소 운영기관(1366충남센터)  현장의견 청취 및 방역점검 -



김경선 여성가족부 차관은 8월 4일(수) 오후, 올해 처음으로 도입·운영하고 있는 디지털 성범죄 지역 특화상담소(이하, ’특화상담소‘) 중 하나인 충남 지역 특화상담소(1366 충남센터)를 찾아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현황을 살피고, 코로나19 방역조치 상황을 점검한다. 



이번 방문은 여성가족부의 폭력피해자 지원체계와 특화상담소 간 효율적 연계 방안에 대해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고, 코로나 19 방역조치 강화에 따른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여부 등 방역 실태를 살피기 위해 추진됐다.



여성가족부는 최근 이미지 합성(딥페이크) 등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성범죄 증가와 디지털 성범죄 피해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기존 성폭력상담소와 별개로 7개 지역의 폭력 피해자 지원 운영기관*을 특화상담소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 경남1366센터, 경북여성통합상담소, 대구여성인권상담소, 부산성폭력상담소, 전북성폭력예방치료센터 부설 성폭력상담소, 제주YWCA 성폭력상담소, 충남1366센터(‘가나다’ 순)  



각 특화상담소에는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이해와 피해 상담 경력을 갖춘 전문 상담사를 배치(개소당 2명)하여 피해자 초기 상담 및 수사 조력, 의료 지원을 제공하는 한편, 불법촬영물 삭제 등 긴급지원이 필요한 경우 해당 플랫폼 사업자에게 불법촬영물 삭제를 요청하고,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의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와 연계하여 추가 유포 현황 모니터링을 지원한다.



특화상담소의 상반기 운영 결과 상담·삭제지원, 수사지원 등 지원건수는 총 2,682건이었으며, 이 중 10대 청소년 등 남성 피해자 지원은 9.7%였다.



특히, 하반기에는 각 특화상담소별로 디지털 성범죄 특성을 반영한 심층 심리상담과 트라우마 치료에 도움이 되는 치유회복 프로그램 등 특화된 서비스를 집중 운영할 계획이다. 


전국 7개 지역 특화상담소 운영기관(성폭력 피해 상담소 및 1366센터)에서는 코로나19 지속 상황에서도 디지털 성범죄 등 폭력피해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피해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주기적 코로나 선제검사 시행 및 방역 지침 준수 독려 등 방역 조치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김경선 여성가족부 차관은 “온라인․비대면 활동이 많아지는 코로나19 지속 상황에서 자칫 심각해질 수 있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현장에서 애쓰고 있는 종사자들의 노고에 감사드린다.”라고 격려하며, “앞으로도 지역 사회의 디지털 성범죄 대응 체계 강화를 위해 특화상담소 운영지역을 점진적으로 확대(‘21년 7개소 → ’22년 10개소)해 나가고, 유관기관 간 연계·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이 자료는 여성가족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