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보도자료) 소방청, 건축물 위험 특성 담은 용도별 소방계획서 10종 배포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소방청,건축물 위험 특성 담은 용도별 소방계획서 배포




-기존 규모에 따라 구분했던소방계획서를 용도별로 개선하여 대상물 특성 반영

- 소방안전관리자 실무능력 및 작성 편의성 향상으로 민간 소방역량 강화

- 내년부터 변경된 양식으로작성해야...소방청·한국소방안전원 누리집에서 확인


소방청(청장 남화영)은 소방안전관리자의 실무능력을 높이기 위해건축물 특성을 담은 용도별 소방계획서*를 배포했다고 밝혔다.

*(소방계획서)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화재를 예방 및 대비하고 화재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작성하는 계획서

그 간,소방계획서는소방대상물의 규모에 따라 대형·소형으로 구분한 일률적 서식을 이용하고 있어건축물 용도에 따른 화재위험 특성을 소방계획에 반영하기 어려웠다.

이에 소방청은 소방안전관리자가 대상물의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소방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특정소방대상물30종 중에서 용도가 유사한 대상물들을 그룹화하여10종의 용도별 소방계획서**를 만들었다.

**소방계획서10:집회,상업,주거·숙박,교육·연구,의료·보호,업무관리,공업,창고,지하·터널,특수

변경된 소방계획서는소방안전관리계획자위소방대 운영계획피난계획으로 구성하여 보다 효과적인 소방안전관리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개선했으며,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작성방법에 대한 매뉴얼을 제공하였다.

이번에 마련된 용도별 소방계획서는소방청 및 한국소방안전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202411일부터는 변경된 양식으로 소방계획서를 작성해야 한다.

한편,전국 소방관서는 용도별 소방계획서가 현장에 제대로 적용될 수 있도록 현지방문 및 소집교육 시 작성방법을 지도할 예정이며,추후 소방안전관리자 정기교육 과정에도 이를 반영할 계획이다.

박성열 소방청 화재예방총괄과장은민간 소방안전관리자 업무역량을 향상시켜 자율적 안전문화 정착에 앞장서겠다유사시 효과적인 소방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앞으로도 추진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개선하겠다고 전했다.

담당 부서

소방청

책임자

과 장

박성열

(044-205-7440)

화재예방총괄과

담당자

소방경

조성계

(044-205-7442)


“이 자료는 소방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