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보도자료) 이산화탄소 누출? 이제 냄새로 알 수 있다! 가스계 소화설비 안전성 확보‥성능기준 개정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이산화탄소 누출?이제 냄새로 알 수 있다

소방청,가스계 소화설비 안전성 확보성능기준 개정



-소방청,가스계 소화설비 화재안전성능기준2건 개정오는8월 시행

-수동기동장치 오조작 방지를 위해 보호장치 추가,부취제 설치 기준 등 마련


오는8월부터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방출 시 부취제*가 함께 방출되도록 의무화된다.

*부취제(附臭劑)는 일종의 방향 화합물로,가스와 같은 무색무취의 기체상태 물질에첨가되어 해당물질이 증발하거나 누출될 때 냄새로 즉시 감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소방청(청장 허석곤)가스계 소화설비의 화재안전성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6)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7A)일부개정고시를710일 발령하고 오는8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은 서울 금천구 소재 지식산업센터 공사장 지하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 누출사고에 따른 후속 안전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서울 금천 지식산업센터 이산화탄소 누출 사고(2021. 10.):사망4,부상17

개정안은 소화약제 방출 등 오조작 방지를 위해수동기동장치에 보호장치(덮개)를 설치하도록 하고,이산화탄소 방출 시 부취제가 함께 방출되도록 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물과 반응하면 폭발할 위험이 있거나,화재진압시 방수되는 소방용수로 인해 수손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고가의 장치를 보관하는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물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불활성·비전도성 소화약제를 가스 형태로 방출하는가스계 소화설비를 설치한다.

하지만 이러한 가스계 소화설비는방호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경우소화약제 방출에 따른질식의 우려가 있고,소화에 필요한소화가스 농도가 높은 경우 사람이 상주하는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는 어려움도 있다.

실제2011년부터2022년까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누출사고는 총12으로, 15명이 숨지고43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확인됐으며,과거 미술관에서도 이산화탄소가 방출되어 관람객이 사망하는 사례도 있었다.

서울00미술관 이산화탄소 누출사고(2001. 5.):사망1,부상58

이에 소방청은 고용노동부 및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가스계 소화설비의 문제점과 사고현황을 분석하고,설치 및 관리 기준을 개선했다.

스위치 덮개 등 보호장치를 설치토록 하여오조작을 방지하고,가스 누출을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소화약제 방출시 부취제가 함께 방출되도록 했다.

또한,과압배출장치를 통해 나온 소화가스를 건축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여저장용기실 내 소화가스가 체류할 위험성을 개선했다.

홍영근 소방청 화재예방국장은이번 화재안전성능기준 개정을 통해 건축물 내에 가스계 소화설비가 설치된 장소의 공간안전성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앞으로도 특정소방대상물의 화재안전성능 향상뿐만 아니라 인명안전확보를 위한 개선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담당 부서

소방청

책임자

과 장

최재민

(044-205-7520)

소방분석제도과

담당자

소방위

민정기

(044-205-7532)



“이 자료는 소방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