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주호입니다.
먼저, 바쁘신 일정에도 오늘 사회정책협의회에 참여해 주신 25개 연구기관장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지난해 사회정책협의회에는 20개 기관이 참여해 주셨는데, 올해부터 국토연구원, 이민정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등 5개 기관이 새로 참여하게 되어 더욱 뜻깊은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잘 아시다시피, 우리 사회는 최근 인구구조 변화, 지역소멸과 디지털 전환 등 사회 전반이 대전환의 분기점에 직면해 있습니다.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더 좋은 사회로의 도약을 위해, 학계, 연구기관, 정부 부처 간 긴밀한 소통과 협력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입니다.
교육부는 사회부총리 부처로서 의제 발굴, 정책 수립·평가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보다 과학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데이터 기반의 사회정책 거버넌스 구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난해부터 사회관계장관회의 구성원에 산업부, 중기부, 통계청,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등 6개 기관을 추가하고, 한국경제학회 등 주요 학회, 통계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학계, 연구기관, 부처 간 연계.협력을 강화해 왔습니다.
정책 환경 변화에 따른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여러 부처에 분산된 데이터를 연계하여 학령기 아동·청소년 기본통계, 소득이동통계 등 신규 통계를 개발하는 작업에도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지난주 열린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는 국민 관심도가 높은 교육데이터부터 적극 개방하고 사회데이터 개방·공유의 선도 사례가 될 수 있도록, 「교육데이터 개방 및 활용 확대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앞으로, 디지털플랫폼 정부 실현에 부합할 수 있도록 교육 분야 데이터는 원칙적으로 전면 개방하고, 데이터 개방의 방식, 형태 등을 수요자 중심으로 대폭 전환해 나갈 예정입니다.
교육,복지,고용 등 사회 분야 데이터를 연계.분석하는 실증연구를 발굴하고 지원하여 과학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는 여건도 마련하겠습니다.
아울러, 올해는 5차례에 걸쳐 학계,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지역소멸, 신취약계층 등 사회 난제에 대해 사회정책포럼을 개최하여,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에 더 많이 귀 기울이겠습니다.
오늘 참석해 주신 연구기관장님들이 각 분야의 싱크탱크로서 각기 전문성을 바탕으로 좋은 아이디어를 내주시고, 정책 제안도 해주시기를 기대합니다.
또한, 데이터 생산과 활용의 중요한 주체로서 증거 기반 사회정책 수립을 든든하게 뒷받침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다시 한번, 오늘 이 자리에 함께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