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계약갱신청구권 도입 후, 임차인이 동의하지 않으면 주택매매를 할 수 없나요?

개선된 임대차 제도 Q&A ②

2020.08.28 국토교통부
인쇄 목록

계약갱신청구권 도입 후, 임차인이 동의하지 않으면 주택매매를 할 수 없나요?

  • 계약갱신청구권 도입 후, 임차인이 동의하지 않으면 주택매매를 할 수 없나요? 하단내용 참조
  • 계약갱신청구권 도입 후, 임차인이 동의하지 않으면 주택매매를 할 수 없나요? 하단내용 참조
  • 계약갱신청구권 도입 후, 임차인이 동의하지 않으면 주택매매를 할 수 없나요? 하단내용 참조
  • 계약갱신청구권 도입 후, 임차인이 동의하지 않으면 주택매매를 할 수 없나요? 하단내용 참조
  • 계약갱신청구권 도입 후, 임차인이 동의하지 않으면 주택매매를 할 수 없나요? 하단내용 참조

◆ 계약갱신청구권 도입 후, 임차인이 동의하지 않으면 주택매매를 할 수 없나요?
계약갱신청구권 제도가 시행되어 집주인이 자신의 주택을 매도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집주인이 임대를 놓은 상황에서 주택을 제3자(매수인)에게 매도하는 것에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기존 집주인과 임차인의 임대차 계약이 제3자(매수인)에게 승계된다는 것은 이미 주지의 사실입니다.

개정 전 주택임대차보호법 하에서도 임차인의 거주기간이 남아있는 경우 주택매도를 이유로 임차인을 내보낼 수 없었습니다.
새로운 집주인이 매입한 주택에 입주를 원하는 경우 임차인의 잔여 거주기간을 모두 보장하고 난 후 매수한 주택에 입주할 수 있었던 만큼, 계약갱신청구권 도입으로 인해 달라지는 것은 없습니다.

◆ 법 시행 전 직접거주를 희망하는 제3자와 주택매매 계약을 체결한 경우, 기존 임차인에게 갱신거절을 할 수 있나요?
이 경우, 사안별로 사실관계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법 시행 전 매수자의 직접거주를 목적으로 주택매매 계약을 체결한 경우라면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3제1항제9호*에 따른 임대인의 갱신거절 사유에 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 그 밖에 임차인이 임차인으로서의 의무를 현저히 위반하거나. 임대차를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있는 경우

아울러, 임대인은 법 시행 이전에 제3자와 매매계약을 체결했다는 사실을 명시적으로 입증(계약금 수령 입증, 계약서 등)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