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미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 목표를 재확인했습니다

. 북한과의 외교?·대화는 판문점 선언 및 싱가포르 합의 등 기존 북한과의 합의를 바탕으로 함으로써, 연속성 확보

2. 남북관계와 북미관계 선순환 구조 복원을 위한 토대 마련

3. 외교와 대화에 기초, 정교하고 실용적 대북정책 추진

4. 인류보편적 가치 공감하에 북한인권 개선에 한미가 함께 노력하며, 인도적 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데 의견 일치

5. 북핵 문제뿐 아니라 북한 관련 모든 이슈에서 한미가 긴밀히 조율, 실현가능한 대북정책의 기틀 마련 의의

[2021. 5. 21.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 한국과 미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 목표를 재확인했습니다.
[대북정책 연속성 확보]
1. 북한과의 외교·대화는 판문점 선언 및 싱가포르 합의 등 기존 북한과의 합의를 바탕으로 함으로써, 연속성 확보
바이든 대통령, 공동기자회견시 미국의 대북특별대표 임명을 직접 발표함으로써 대북 관여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미측의 남북협력 지지 확보]
2. 남북관계와 북미관계 선순환 구조 복원을 위한 토대 마련
바이든 대통령은 남북 대화와 관여 및 협력에 대해 명확한 지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대북정책 공조]
3. 외교와 대화에 기초, 정교하고 실용적 대북정책 추진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 목표를 확인하고, 美 대북정책 검토 초기부터 마무리까지 한미간 긴밀한 공조를 통해 현실적인 대북정책을 도출, 양 정상이 이를 추인했습니다.
[북한 인권 및 인도적 지원]
4. 인류보편적 가치 공감하에 북한인권 개선에 한미가 함께 노력하며, 인도적 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데 의견 일치
남북 이산가족 상봉 지속 촉진 등을 위한 양국정상의 의지를 확인했습니다.
[대북정책의 기틀 마련]
5. 북핵 문제뿐 아니라 북한 관련 모든 이슈에서 한미가 긴밀히 조율, 실현가능한 대북정책의 기틀 마련 의의
대북 접근법이 일치하도록 조율할 것을 합의했습니다.
한국과 미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 목표를 재확인했습니다
[2021. 5. 21.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 한국과 미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 목표를 재확인했습니다.
[대북정책 연속성 확보]
1. 북한과의 외교·대화는 판문점 선언 및 싱가포르 합의 등 기존 북한과의 합의를 바탕으로 함으로써, 연속성 확보
바이든 대통령, 공동기자회견시 미국의 대북특별대표 임명을 직접 발표함으로써 대북 관여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미측의 남북협력 지지 확보]
2. 남북관계와 북미관계 선순환 구조 복원을 위한 토대 마련
바이든 대통령은 남북 대화와 관여 및 협력에 대해 명확한 지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대북정책 공조]
3. 외교와 대화에 기초, 정교하고 실용적 대북정책 추진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 목표를 확인하고, 美 대북정책 검토 초기부터 마무리까지 한미간 긴밀한 공조를 통해 현실적인 대북정책을 도출, 양 정상이 이를 추인했습니다.
[북한 인권 및 인도적 지원]
4. 인류보편적 가치 공감하에 북한인권 개선에 한미가 함께 노력하며, 인도적 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데 의견 일치
남북 이산가족 상봉 지속 촉진 등을 위한 양국정상의 의지를 확인했습니다.
[대북정책의 기틀 마련]
5. 북핵 문제뿐 아니라 북한 관련 모든 이슈에서 한미가 긴밀히 조율, 실현가능한 대북정책의 기틀 마련 의의
대북 접근법이 일치하도록 조율할 것을 합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