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도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안전수칙

2022년도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안전수칙

2022년도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안전수칙

2022년도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안전수칙

2022년도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안전수칙

2022년도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안전수칙

올해 가을철 산불 급증!
입산자의 실화로 인한 산불발생비율이 증가하였습니다.
산불예방 방법 꼭 숙지하고 우리의 숲을 지켜주세요!
※ 가을철 산불조심 기간 : 11월 1일 ~ 12월 15일
◆ 원인별 산불발생 현황 이렇습니다!
· 최근 10년 평균 산불발생 현황
10년 평균 432건으로 약 1,070ha 면적에 피해를 주었습니다.
이 중 가을철 산불조심 기간 중 평균 29건의 산불로 8.8ha의 산림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 원인별 발생 현황
입산자 실화 37%, 소각 산불 17%, 건축물 화재 8%로 자연적인 요인보다는 인위적인 요인으로 인한 산불이 대부분입니다.
· 원인별 발생 추세
소각 산불 및 건축물 화재 비화로 인한 산불발생비율은 감소 추세이나 입산자 실화로 인한 발생비율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입산자 실화 10년 평균 37% → ’20년 40% → ’21년 42%
◆ 등산 중 산불발생 확인 시 대처 방법!
· 신속한 대피로 사고예방
산불발생을 확인하게 되면 신속히 대피하여야 하며 무리하게 진화하지 않습니다.
· 신속한 신고를 통한 대처
대피 후에 신고를 통해 재난기관에서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연기 다량 발생 시 대처 방법
마른 손수건, 스카프 등을 통해 연기흡입을 막아 폐를 보호합니다.
물로 적실 경우 뜨거운 수증기로 인해 화상 및 폐 손상 우려가 있습니다.
· 불길 확산 시 대피방법
불길을 피해 우회하여 대피하며 계곡부에 대피 시는 연기에 고립될 수 있으므로 지양합니다.
◆ 산불 확산으로 인한 민가 대처 방법!
· 문과 창문 닫기
불똥과 연기가 문과 창문을 통해 들어오지 않도록 꼭 닫아줍니다.
· 주변에 물 뿌리기
집과 주변에 충분히 물을 뿌려 산불로 인한 가옥 소실률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 집 주변 인화물질 제거
가스통 및 휘발유 같은 인화물질을 제거하여 2차 폭발사고로부터 예방해야 합니다.
· 안전한 장소로 대피
대피방송 등에 예의주시하여 주변 공터 등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여 인명 피해를 예방합니다.
◆ 산불예방 방법을 숙지하고 숲을 지켜주세요!
· 입산 규정을 확인 후 등산
출입 가능 등산로를 확인하고 산불 위험이 큰 통제 지역은 출입을 하지 않습니다.
· 흡연은 절대 금물!
작은 불도 큰 불로 이어질 수 있으며 등산 시 라이터, 성냥 등 화기물 소지 및 흡연을 절대 금지해 주세요.
· 허용지역 외 취사 및 야영 금지
산림 내에서 화기 취급 시 산불발생 위험이 높아지며 산림보호법에 의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 논, 밭두렁 쓰레기 태우기 금지
소각으로 인해 산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쓰레기는 폐기물로 처리하며 소각하지 않습니다.
푸른 숲 그 사랑의 실천은 산불예방입니다.
올해 가을철 산불 급증!
입산자의 실화로 인한 산불발생비율이 증가하였습니다.
산불예방 방법 꼭 숙지하고 우리의 숲을 지켜주세요!
※ 가을철 산불조심 기간 : 11월 1일 ~ 12월 15일
◆ 원인별 산불발생 현황 이렇습니다!
· 최근 10년 평균 산불발생 현황
10년 평균 432건으로 약 1,070ha 면적에 피해를 주었습니다.
이 중 가을철 산불조심 기간 중 평균 29건의 산불로 8.8ha의 산림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 원인별 발생 현황
입산자 실화 37%, 소각 산불 17%, 건축물 화재 8%로 자연적인 요인보다는 인위적인 요인으로 인한 산불이 대부분입니다.
· 원인별 발생 추세
소각 산불 및 건축물 화재 비화로 인한 산불발생비율은 감소 추세이나 입산자 실화로 인한 발생비율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입산자 실화 10년 평균 37% → ’20년 40% → ’21년 42%
◆ 등산 중 산불발생 확인 시 대처 방법!
· 신속한 대피로 사고예방
산불발생을 확인하게 되면 신속히 대피하여야 하며 무리하게 진화하지 않습니다.
· 신속한 신고를 통한 대처
대피 후에 신고를 통해 재난기관에서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연기 다량 발생 시 대처 방법
마른 손수건, 스카프 등을 통해 연기흡입을 막아 폐를 보호합니다.
물로 적실 경우 뜨거운 수증기로 인해 화상 및 폐 손상 우려가 있습니다.
· 불길 확산 시 대피방법
불길을 피해 우회하여 대피하며 계곡부에 대피 시는 연기에 고립될 수 있으므로 지양합니다.
◆ 산불 확산으로 인한 민가 대처 방법!
· 문과 창문 닫기
불똥과 연기가 문과 창문을 통해 들어오지 않도록 꼭 닫아줍니다.
· 주변에 물 뿌리기
집과 주변에 충분히 물을 뿌려 산불로 인한 가옥 소실률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 집 주변 인화물질 제거
가스통 및 휘발유 같은 인화물질을 제거하여 2차 폭발사고로부터 예방해야 합니다.
· 안전한 장소로 대피
대피방송 등에 예의주시하여 주변 공터 등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여 인명 피해를 예방합니다.
◆ 산불예방 방법을 숙지하고 숲을 지켜주세요!
· 입산 규정을 확인 후 등산
출입 가능 등산로를 확인하고 산불 위험이 큰 통제 지역은 출입을 하지 않습니다.
· 흡연은 절대 금물!
작은 불도 큰 불로 이어질 수 있으며 등산 시 라이터, 성냥 등 화기물 소지 및 흡연을 절대 금지해 주세요.
· 허용지역 외 취사 및 야영 금지
산림 내에서 화기 취급 시 산불발생 위험이 높아지며 산림보호법에 의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 논, 밭두렁 쓰레기 태우기 금지
소각으로 인해 산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쓰레기는 폐기물로 처리하며 소각하지 않습니다.
푸른 숲 그 사랑의 실천은 산불예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