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5년 제1차 추가경정예산 4.8조 원 확정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2025년 제1차 추가경정예산 4.8조 원 확정

  • 2025년 제1차 추가경정예산 4.8조 원 확정 하단내용 참조
  • 2025년 제1차 추가경정예산 4.8조 원 확정 하단내용 참조
  • 2025년 제1차 추가경정예산 4.8조 원 확정 하단내용 참조
  • 2025년 제1차 추가경정예산 4.8조 원 확정 하단내용 참조
  • 2025년 제1차 추가경정예산 4.8조 원 확정 하단내용 참조
  • 2025년 제1차 추가경정예산 4.8조 원 확정 하단내용 참조
  • 2025년 제1차 추가경정예산 4.8조 원 확정 하단내용 참조

중소벤처기업부는 2025년 제1차 추가경정예산으로 5월 1일(목) 국회 본회의 의결을 거쳐 4조 8267억 원이 확정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 미국 관세 조치 등으로 경영애로를 겪고 있는 수출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7698억 원.
· 물가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의 민생회복을 위해 4조 201억 원.
· 신기술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368억 원 등 총 4.8조 원 확정.

① 美 관세 조치 등 대외 불확실성으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 중소기업의 통상 리스크 대응을 지원합니다.

· 통상 리스크 대응 긴급자금' 1000억 원 신설('25년 한시), 금리우대, 거치기간 및 만기 연장 등 지원
· 수출국 다변화, 신시장 진출 등에 필요한 자금 1천억 원과 긴급 유동성 공급을 위한 자금 3천억 원 추가 공급
· 신용보증기금(3.3조 원) 및 기술보증기금(1.2조 원)을 통해 총 4.5조 원 규모 '위기기업특례보증' 신설
· 수출바우처 사업에 898억 원 추가 투입, 해외규격인증 획득을 위한 비용 100억 원 추가 지원

② 통상 리스크, 산불 피해, 물가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의 민생회복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신설·지원합니다.

·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에게 크레딧(50만 원)을 지원하는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 신규 사업을 1.57조 원 규모 신규 편성.

· 전년 대비 증가한 카드 소비액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상생페이백' 사업 예산 1.37조 원 편성.

· 중·저신용 소상공인의 경영애로 해소를 위해 1000만 원 한도의 구매 전용 신용카드 '소상공인 비즈플러스카드' 신설.

· 소상공인 정책자금을 5000억 원 규모로 추가 확대, 지역신용보증재단을 통해 2조 원 규모의 신규 보증공급 확대.

· '희망리턴패키지' 사업에 494억 원 추가 투입,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 환급행사 5개월간 추진.

③ AI 등 신기술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AI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스케일업 지원 및 스마트 공장의 AI 기술 도입·활용 등을 추진합니다.

· 민간투자와 연계한 R&D 프로그램 '스케일업 팁스' 확대

· AI 기술이 중소 제조현장에 적용·확산될 수 있도록 제조로봇, 공정 자동화 구축 및 클라우드 솔루션 개발 지원

특히, 국회 추경 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특별재난지역의 소비 촉진 등을 위해 중점 지원하도록 증액했습니다.

- 특별재난지역의 관광객 증가 등 경제활성화를 위하여 3개월간 디지털온누리상품권 10% 환급행사 추진
- 지역상권활력지원 사업을 추가 공모

오영주 장관은 "이번 추경예산의 상당 부분이 수출 중소기업을 위한 통상리스크 대응 지원과 소상공인의 민생지원 예산으로 우리 경제가 위중한 만큼 최대한 신속히 집행하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중기부는 금번 추경 예산의 집행에 앞서 관계기관과 사전협의 등을 통해 신속한 사전 준비절차를 마련하는 등 신속하고 효율적인 집행이 되도록 노력할 계획입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