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추경예산 집행계획

2025 추경예산 집행계획

2025 추경예산 집행계획

2025 추경예산 집행계획

■ 13.8조 원 중, 12.0조 원 집행관리 대상으로 선정
■ 3개월 내 70% 수준 집행, 연내 전액 집행 목표
① 재해·재난 대응 (1.7조 원)
7월말까지 54% 집행.
- 재해·재난대처비 복구계획에 따라 5월 중 지자체 교부.
- 헬기 도입, 임도 확충 등 나머지 사업도 연내 전액 집행 추진.
② 통상·AI 경쟁력 제고 (4.3조 원)
7월말까지 88% 집행.
- 금융지원과 AI 등 첨단 산업 경쟁력 지원 사업 조속히 추진.
③ 민생지원 (5.1조 원)
7월말까지 65% 집행
- 민생사업 조기 착수로 서민·소상공인 부담 경감.
■ 주요사업 집행계획
· 수출바우처(898억 원)
컨설팅, 물류비 등 수출과정에 필요한 서비스 바우처 지원(6월부터 지급).
·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15,660억 원)
소상공인에게 공과금, 보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크레딧을 50만 원 한도 지급(7월부터 지급 시작하여, 연말까지 300만명 이상 지원).
· AI컴퓨팅 지원활용 기반강화(16,194억 원)
선제적 GPU 구매 후 국가 프로젝트 및 AI 생태계 지원(5월부터 사업자 공모 및 수행기관 선정 추진).
· 임대주택리츠 출자(1500억 원)
브릿지론 상환 위기 사업장을 공공지원 민간임대 리츠가 인수하여 시행자 자금애로 해소 및 주택공급 정상화(5월부터 공공지원 민간임대 리츠 출자).
· 재난대책비(6600억 원)
재난피해시 사유시설 피해자 구호를 위한 재난지원금 지원과 공공시설 피해 복구지원(재난지원금 등을 5월 내 4,500억 원 교부).
·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4000억 원)
지자체가 발행하는 지역사랑상품권 할인비용 일부지원, 지자체 수요조사(5월)를 거쳐 교부(6월).
· 산림헬기 도입·운영(968억 원)
헬기도입, 물버킷 교체·수리, 광학열화상카메라 장착(7월부터 집행).
· 산은 출자·관세대응 저리지원 특별 프로그램(1000억 원)
저리설비자금(1조 원), 운영자금(3조 원) 지원, 지자체 수요조사(5월)를 거쳐 교부(6월).
■ 13.8조 원 중, 12.0조 원 집행관리 대상으로 선정
■ 3개월 내 70% 수준 집행, 연내 전액 집행 목표
① 재해·재난 대응 (1.7조 원)
7월말까지 54% 집행.
- 재해·재난대처비 복구계획에 따라 5월 중 지자체 교부.
- 헬기 도입, 임도 확충 등 나머지 사업도 연내 전액 집행 추진.
② 통상·AI 경쟁력 제고 (4.3조 원)
7월말까지 88% 집행.
- 금융지원과 AI 등 첨단 산업 경쟁력 지원 사업 조속히 추진.
③ 민생지원 (5.1조 원)
7월말까지 65% 집행
- 민생사업 조기 착수로 서민·소상공인 부담 경감.
■ 주요사업 집행계획
· 수출바우처(898억 원)
컨설팅, 물류비 등 수출과정에 필요한 서비스 바우처 지원(6월부터 지급).
·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15,660억 원)
소상공인에게 공과금, 보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크레딧을 50만 원 한도 지급(7월부터 지급 시작하여, 연말까지 300만명 이상 지원).
· AI컴퓨팅 지원활용 기반강화(16,194억 원)
선제적 GPU 구매 후 국가 프로젝트 및 AI 생태계 지원(5월부터 사업자 공모 및 수행기관 선정 추진).
· 임대주택리츠 출자(1500억 원)
브릿지론 상환 위기 사업장을 공공지원 민간임대 리츠가 인수하여 시행자 자금애로 해소 및 주택공급 정상화(5월부터 공공지원 민간임대 리츠 출자).
· 재난대책비(6600억 원)
재난피해시 사유시설 피해자 구호를 위한 재난지원금 지원과 공공시설 피해 복구지원(재난지원금 등을 5월 내 4,500억 원 교부).
·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4000억 원)
지자체가 발행하는 지역사랑상품권 할인비용 일부지원, 지자체 수요조사(5월)를 거쳐 교부(6월).
· 산림헬기 도입·운영(968억 원)
헬기도입, 물버킷 교체·수리, 광학열화상카메라 장착(7월부터 집행).
· 산은 출자·관세대응 저리지원 특별 프로그램(1000억 원)
저리설비자금(1조 원), 운영자금(3조 원) 지원, 지자체 수요조사(5월)를 거쳐 교부(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