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미협상 TF 출범 및 한미 통상협상 본격화

대미협상 TF 출범 및 한미 통상협상 본격화

대미협상 TF 출범 및 한미 통상협상 본격화

대미협상 TF 출범 및 한미 통상협상 본격화

산업경쟁력 강화·성장동력 창출 계기로!
대미협상 TF 출범 및 한미 통상협상 본격화.
■ 범부처 총력 대응체계 공고화
· 대미협상 TF출범(6.16.)
- 통상·산업·에너지를 망라한 총력대응체계 구축(단장: 통상교섭본부장).
- 대미 기술협상 실무대표 1급으로 격상(종전 국장급).
· 통상추진위원회 개최(6.17.)
- 미국과의 고위급·기술협의 앞두고 우리측 대응상황 점검.
- 이슈별 대응전략 논의.
■ 한미 통상협상 본격 추진
· 새정부 첫 장관급 회담(6.23.)
- 상호관세·품목관세 등 일체의 관세 면제 중요성 재차 강조.
· 미 정부·의회 주요인사 면담(6.23.~27.)
- 우리 새정부의 협력 강화 비전 공유, 상호호혜적 합의 위한 한국의 선의 전달.
· 제3차 기술협의(6.24.~26.)
- 양측의 수용가능한 대안 협의, 국익 중심의 실용주의적 결과 도출 위해 노력.
"한미 통상협상은 단순한 관세협상이 아니라 향후 한미 간 협력의 틀을 새롭게 구축할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의 기회입니다."
"정부는 미국과 치열하게 협의해 당면한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산업경쟁력 강화·성장동력 창출 계기로!
대미협상 TF 출범 및 한미 통상협상 본격화.
■ 범부처 총력 대응체계 공고화
· 대미협상 TF출범(6.16.)
- 통상·산업·에너지를 망라한 총력대응체계 구축(단장: 통상교섭본부장).
- 대미 기술협상 실무대표 1급으로 격상(종전 국장급).
· 통상추진위원회 개최(6.17.)
- 미국과의 고위급·기술협의 앞두고 우리측 대응상황 점검.
- 이슈별 대응전략 논의.
■ 한미 통상협상 본격 추진
· 새정부 첫 장관급 회담(6.23.)
- 상호관세·품목관세 등 일체의 관세 면제 중요성 재차 강조.
· 미 정부·의회 주요인사 면담(6.23.~27.)
- 우리 새정부의 협력 강화 비전 공유, 상호호혜적 합의 위한 한국의 선의 전달.
· 제3차 기술협의(6.24.~26.)
- 양측의 수용가능한 대안 협의, 국익 중심의 실용주의적 결과 도출 위해 노력.
"한미 통상협상은 단순한 관세협상이 아니라 향후 한미 간 협력의 틀을 새롭게 구축할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의 기회입니다."
"정부는 미국과 치열하게 협의해 당면한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나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