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우리나라의 17번째 세계유산 '반구천의 암각화'
선사문화의 증명,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선사 시대부터 약 6천 년간 한반도 사람들이 높은 수준으로 묘사한 예술적 작품으로 특히, 고래와 고래잡이 과정을 창의적으로 풀어냈다. 한반도 동부 연안 지역의 문화 발전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7월 12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를 최종 결정했습니다.
·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울산 반구천 주변 암벽면에 새긴 두 암각화로 선사시대부터 6천 년 동안 남긴 그림과 문자입니다.
■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 신석기, 청동기, 신라시대 그림 625점.
· 돌과 금속으로 그린 동물, 인물, 도구, 추상그림, 문자.
· 동물그림과 추상그림으로 생활모습과 관념을 알 수 있음.
· 신라시대 한자는 고대국가(신라) 연구에 귀중한 자료.
■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 신석기 시대 그림 312점.
· 돌로 그린 동물, 인물, 도구 그림.
· 고래 및 고래사냥이 사실적·입체적으로 표현, 신석기 시대 해양어로 문화를 알 수 있음.
■ 우리나라의 17번째 세계유산 '반구천의 암각화'
선사문화의 증명,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선사 시대부터 약 6천 년간 한반도 사람들이 높은 수준으로 묘사한 예술적 작품으로 특히, 고래와 고래잡이 과정을 창의적으로 풀어냈다. 한반도 동부 연안 지역의 문화 발전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7월 12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를 최종 결정했습니다.
·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울산 반구천 주변 암벽면에 새긴 두 암각화로 선사시대부터 6천 년 동안 남긴 그림과 문자입니다.
■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 신석기, 청동기, 신라시대 그림 625점.
· 돌과 금속으로 그린 동물, 인물, 도구, 추상그림, 문자.
· 동물그림과 추상그림으로 생활모습과 관념을 알 수 있음.
· 신라시대 한자는 고대국가(신라) 연구에 귀중한 자료.
■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 신석기 시대 그림 312점.
· 돌로 그린 동물, 인물, 도구 그림.
· 고래 및 고래사냥이 사실적·입체적으로 표현, 신석기 시대 해양어로 문화를 알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