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짜 성장을 위한 공평하고 효율적인 세제

진짜 성장을 위한 공평하고 효율적인 세제

진짜 성장을 위한 공평하고 효율적인 세제

진짜 성장을 위한 공평하고 효율적인 세제

진짜 성장을 위한 공평하고 효율적인 세제

진짜 성장을 위한 공평하고 효율적인 세제

진짜 성장을 위한 공평하고 효율적인 세제

진짜 성장을 위한 공평하고 효율적인 세제

진짜 성장을 위한 공평하고 효율적인 세제

진짜 성장을 위한 공평하고 효율적인 세제

[2025년 세제개편안]
■ 경제강국 도약 - 미래전략산업 지원
· 국가전략기술 AI분야 세부기술 및 사업화 시설 추가 신설
① 생성형 AI 기술
② 에이전트 AI 기술
③ 학습 및 추론 고도화 기술
④ 저전력 고효율 AI 컴퓨팅 기술
⑤ 인간중심 AI 기술
· 웹툰콘텐츠 제작비용 세액공제(신설)
웹툰콘텐츠 제작비용*에 대해 소득세·법인세 10% 세액공제(중소기업 15%).
*인건비, 저작권료, 프로그램 비용 등.
· 통합고용세액공제 개편
고용감소 시 공제세액 추징 → 고용유지 시 2~3년차에 더 높은 공제.
<표참조>
■ 경제강국 도약 - 자본시장 활성화 및 벤처투자 세제지원
· 고배당 상장법인으로부터 거주자가 받은 배당소득에 대해 종합소득 과세 대상에서 제외
(14~45% 세율)
① 적용요건(1and2)
1. 전년 대비 현금배당액이 감소하지 않을 것.
2. 배당성향 40% 이상 or 배당성향 25% 이상.
+ 직전 3년 대비 5% 이상 배당 증가.
② 대상소득: 현금배당액(중간·분기·결산배당)
③ 적용세율: (2000만 원 이하)14%, (2000만 원~3억 원)20%, (3억 원 초과)35%.
· 투자·상생협력 촉진세제 개편
환류대상에 배당을 추가하고 환류해야 하는 기업소득 비율 상향.
<표참조>
■ 경제강국 도약 - 지역성장 지원
· 고향사랑기부금 세제지원 확대
10만 원 초과 20만 원 이하 기부금 세액공제율 상향(15% → 40%).
· 지방이전기업 세제지원 제도 개선: 3년 연장(~'28.12.31.)
- 공장·본사 이전기업에 대한 세액감면의 대상·기간 확대*.
*수도권, 광역시를 제외한 낙후지역은 최대 감면기간 적용.
- 투자·고용 수준에 따른 감면한도 설정.
*지방 투자누계액의 70% + 지방 근무 상시근로자 1인당 1500만 원(청년·서비스업 2000만 원).
·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금융중심지 등 지방 경제산업 특구 세제지원 적용기한 연장
: 3년 연장(~28.12.31.).
■ 민생안정 - 서민·중산층, 다자녀가구 등 세제지원
·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기본공제 한도 확대
- 기본한도 자녀당 50만 원 상향 (최대 100만 원)
단, 총급여 7천만원 초과시 자녀당 25만원 상향 (최대 50만 원)
· 초등1~2학년 예체능학원비 세제지원 신설
- 자녀의 예체능학원비를 교육비 세액공제 대상에 포함.
· 월세 세액공제 적용 대상자 및 대상주택 확대
(무주택 세대주)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17%
5500만 원 초과 ~ 8000만원 이하: 15%
- 대상
(현행)세대주(세대주 미공제 시 세대원).
(개정안)부부 각각 공제 허용.
- 주택(면적 기준)
(현행) 85㎡이하(수도권 및 도시지역 외 100㎡).
(개정안) 3자녀 이상인 경우 지역구분 없이 100㎡ 이하.
- 한도
(현행)연 1000만 원.
(개정안)부부합산 연 1000만 원.
■ 민생안정 - 소상공인·중소기업 및 상생협력 지원
· 지역사랑상품권 업추비 손금 확대: 3년 연장(~28.12.31.)
- 지역사랑상품권 지출금액
전통시장 기업업무추진비 추가 한도 대상에 포함.
추가한도 2배 상향 10% → 20%.
· 경영악화로 노란우산공제 해지 시 세부담 완화
- 직전 3년 평균수입금액 대비 50% 이상 감소 → 20% 이상 감소.
· 생계형 창업중소기업 세제지원 기준금액 상향
(수입 기준)연간 8000만 원 → 1억 400만 원 이하.
■ 민생안정 - 납세자 권익보장 및 납세편의 제고
· 관세 중복조사 금지 대상 합리화
중복조사 걱정 줄인다!
사전통지서에 적힌 항목은 한번 조사로 끝!
· 관세 조사 사전통지기간 합리화
- 일반관세조사 사전통지 기한
: (현행)조사 15일 전 → (개정)20일 전
- 심사·심판 재조사 결정에 따른 사전통지 기한
: (현행)조사 15일 전 → (개정)7일전
- 사전통지 예외 관세조사*사전통지 기한
: (신설)당일통지.
*사전통지 시 증거인멸 등 조사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
· 국선대리인 지원대상 확대
경제적 사정 등으로 심사·심판청구 등을 기한 내 제기하지 못해 고충민원*을 신청한 납세자에 대해서도 국선대리인 지원.
*불복청구 기간이 도과한 사항에 대해 과세관청의 직권 처분을 요청하는 민원.
■ 세입기반 확충 조세제도 합리화 - 응능부담원칙에 따른 세부담 정상화
· 법인세율 '22년 수준으로 환원<표참조>
· 증권거래세율 '23년 수준으로 환원
- 코스피
(현행) 0%→ (개정안) 0.05%
- 코스닥
(현행) 0.15%→ (개정안) 0.20%
* 농어촌특별세 0.15% 별도.
· 주식양도세 대주주 기준 환원
종목당 50억 원 이상 → 종목당 10억 원 이상.
■ 세입기반 확충 조세제도 합리화 - 과세체계 합리화
· 한시적 지원 종료
- 임시투자세액공제.
- 외국인 관광객 미용성형 의료용역 부가가치세 환급특례.
- 청년형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 소득공제.
· 조합법인 등에 대한 법인세 과세특례 합리화: 3년 연장(~28.12.31).
- 과세표준 20억 원 초과구간에 대한 특례세율 상향.
· 국외전출세 과세 대상 확대
거주자가 이민 등으로 국외전출시 국외전출일에 양도소득세 과세(해외주식 포함).
■ 세입기반 확충 조세제도 합리화 - 조세탈루 방지 및 징수 효율화
· 외국법인 연락사무소 현황자료 미제출시 과태료(신설)
외국법인이 국내 연락사무소 설치 후 현황자료 미제출 시 또는 거짓제출 시 과태료 부과
· 고액 체납자에 대한 감치 신청제외 요건(신설)
- 2년 내 체납액을 50% 이상 납부한 경우 감치 실익이 없거나 양도담보권자 등이 물적납세의무 관련 체납한 경우 등.
[2025년 세제개편안]
■ 경제강국 도약 - 미래전략산업 지원
· 국가전략기술 AI분야 세부기술 및 사업화 시설 추가 신설
① 생성형 AI 기술
② 에이전트 AI 기술
③ 학습 및 추론 고도화 기술
④ 저전력 고효율 AI 컴퓨팅 기술
⑤ 인간중심 AI 기술
· 웹툰콘텐츠 제작비용 세액공제(신설)
웹툰콘텐츠 제작비용*에 대해 소득세·법인세 10% 세액공제(중소기업 15%).
*인건비, 저작권료, 프로그램 비용 등.
· 통합고용세액공제 개편
고용감소 시 공제세액 추징 → 고용유지 시 2~3년차에 더 높은 공제.
<표참조>
■ 경제강국 도약 - 자본시장 활성화 및 벤처투자 세제지원
· 고배당 상장법인으로부터 거주자가 받은 배당소득에 대해 종합소득 과세 대상에서 제외
(14~45% 세율)
① 적용요건(1and2)
1. 전년 대비 현금배당액이 감소하지 않을 것.
2. 배당성향 40% 이상 or 배당성향 25% 이상.
+ 직전 3년 대비 5% 이상 배당 증가.
② 대상소득: 현금배당액(중간·분기·결산배당)
③ 적용세율: (2000만 원 이하)14%, (2000만 원~3억 원)20%, (3억 원 초과)35%.
· 투자·상생협력 촉진세제 개편
환류대상에 배당을 추가하고 환류해야 하는 기업소득 비율 상향.
<표참조>
■ 경제강국 도약 - 지역성장 지원
· 고향사랑기부금 세제지원 확대
10만 원 초과 20만 원 이하 기부금 세액공제율 상향(15% → 40%).
· 지방이전기업 세제지원 제도 개선: 3년 연장(~'28.12.31.)
- 공장·본사 이전기업에 대한 세액감면의 대상·기간 확대*.
*수도권, 광역시를 제외한 낙후지역은 최대 감면기간 적용.
- 투자·고용 수준에 따른 감면한도 설정.
*지방 투자누계액의 70% + 지방 근무 상시근로자 1인당 1500만 원(청년·서비스업 2000만 원).
·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금융중심지 등 지방 경제산업 특구 세제지원 적용기한 연장
: 3년 연장(~28.12.31.).
■ 민생안정 - 서민·중산층, 다자녀가구 등 세제지원
·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기본공제 한도 확대
- 기본한도 자녀당 50만 원 상향 (최대 100만 원)
단, 총급여 7천만원 초과시 자녀당 25만원 상향 (최대 50만 원)
· 초등1~2학년 예체능학원비 세제지원 신설
- 자녀의 예체능학원비를 교육비 세액공제 대상에 포함.
· 월세 세액공제 적용 대상자 및 대상주택 확대
(무주택 세대주)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17%
5500만 원 초과 ~ 8000만원 이하: 15%
- 대상
(현행)세대주(세대주 미공제 시 세대원).
(개정안)부부 각각 공제 허용.
- 주택(면적 기준)
(현행) 85㎡이하(수도권 및 도시지역 외 100㎡).
(개정안) 3자녀 이상인 경우 지역구분 없이 100㎡ 이하.
- 한도
(현행)연 1000만 원.
(개정안)부부합산 연 1000만 원.
■ 민생안정 - 소상공인·중소기업 및 상생협력 지원
· 지역사랑상품권 업추비 손금 확대: 3년 연장(~28.12.31.)
- 지역사랑상품권 지출금액
전통시장 기업업무추진비 추가 한도 대상에 포함.
추가한도 2배 상향 10% → 20%.
· 경영악화로 노란우산공제 해지 시 세부담 완화
- 직전 3년 평균수입금액 대비 50% 이상 감소 → 20% 이상 감소.
· 생계형 창업중소기업 세제지원 기준금액 상향
(수입 기준)연간 8000만 원 → 1억 400만 원 이하.
■ 민생안정 - 납세자 권익보장 및 납세편의 제고
· 관세 중복조사 금지 대상 합리화
중복조사 걱정 줄인다!
사전통지서에 적힌 항목은 한번 조사로 끝!
· 관세 조사 사전통지기간 합리화
- 일반관세조사 사전통지 기한
: (현행)조사 15일 전 → (개정)20일 전
- 심사·심판 재조사 결정에 따른 사전통지 기한
: (현행)조사 15일 전 → (개정)7일전
- 사전통지 예외 관세조사*사전통지 기한
: (신설)당일통지.
*사전통지 시 증거인멸 등 조사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
· 국선대리인 지원대상 확대
경제적 사정 등으로 심사·심판청구 등을 기한 내 제기하지 못해 고충민원*을 신청한 납세자에 대해서도 국선대리인 지원.
*불복청구 기간이 도과한 사항에 대해 과세관청의 직권 처분을 요청하는 민원.
■ 세입기반 확충 조세제도 합리화 - 응능부담원칙에 따른 세부담 정상화
· 법인세율 '22년 수준으로 환원<표참조>
· 증권거래세율 '23년 수준으로 환원
- 코스피
(현행) 0%→ (개정안) 0.05%
- 코스닥
(현행) 0.15%→ (개정안) 0.20%
* 농어촌특별세 0.15% 별도.
· 주식양도세 대주주 기준 환원
종목당 50억 원 이상 → 종목당 10억 원 이상.
■ 세입기반 확충 조세제도 합리화 - 과세체계 합리화
· 한시적 지원 종료
- 임시투자세액공제.
- 외국인 관광객 미용성형 의료용역 부가가치세 환급특례.
- 청년형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 소득공제.
· 조합법인 등에 대한 법인세 과세특례 합리화: 3년 연장(~28.12.31).
- 과세표준 20억 원 초과구간에 대한 특례세율 상향.
· 국외전출세 과세 대상 확대
거주자가 이민 등으로 국외전출시 국외전출일에 양도소득세 과세(해외주식 포함).
■ 세입기반 확충 조세제도 합리화 - 조세탈루 방지 및 징수 효율화
· 외국법인 연락사무소 현황자료 미제출시 과태료(신설)
외국법인이 국내 연락사무소 설치 후 현황자료 미제출 시 또는 거짓제출 시 과태료 부과
· 고액 체납자에 대한 감치 신청제외 요건(신설)
- 2년 내 체납액을 50% 이상 납부한 경우 감치 실익이 없거나 양도담보권자 등이 물적납세의무 관련 체납한 경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