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동향 발표

2025년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동향 발표

2025년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동향 발표

2025년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동향 발표

2025년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동향 발표

2025년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동향 발표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 이하 중기부)는 8월 4일(월) '2025년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동향'을 발표했습니다.
'23년 4분기에 중소기업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1.6%)된 이후 '25년 2분기까지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7분기 연속 수출플러스를 기록했으며 수출 중소기업 수 역시 78,655개사로 전년동기대비 2.2% 증가하며 역대 상반기 수출 중소기업 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품목
상위 수출품목의 증가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중소기업 전체 수출 상승을 주도
· (1위)화장품
*39.4억 달러(전년동기대비 +19.7%)
K-뷰티 인지도 확대로 미국, 중국과 같은 기존 주력시장 외 UAE(+63.6%), 폴란드(+160.5%) 등 신흥시장 수요도 함께 상승.
· (2위)자동차
*39.2억 달러(전년동기대비 +73.7%)
중동 지역 등에서 높은 인지도, 가격경쟁력 등으로 중고차 수요가 급증했으며 UAE(+97.7%)도 중고차 수출 허브로서 중고차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
■ 국가
미국, 화장품 등 주요 수출품목의 증가세로 수출국 1위 유지
· (1위) 미국
*93.9억 달러(전년동기대비 +1.1%)
화장품(+13.8%), 전력용기기(+27.4%) 등 기존 주력 수출품목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역대 상반기 최고 수출액 기록.
- 철강, 알루미늄은 감소, 자동차 부품은 증가.
· 대만
*15.8억 달러(전년동기대비 +23.3%)
글로벌 반도체 업황 호조에 힘입어 반도체제조용장비(+82.5%), 반도체(+25.5%), 정밀화학원료(+173.7%) 등이 강세.
- 대만 중소기업 상위 10대 품목 모두 증가.
· 베트남
*52.3억 달러(전년동기대비 -5.0%)
수출 상위 10대 품목 중 9개 품목이 감소하며 2분기 연속으로 감소세 유지.
■ 온라인
'25년 상반기 온라인 수출, 5.3억 달러를 기록하며 최초로 5억 달러 돌파
· 2025년 상반기 온라인 수출
*전년동기대비 +12.0%
- 화장품(290백만 달러, +13.7%) 중심으로 증가.
- 온라인 총 수출액 중 중소기업 비중이 77.1%로 중소기업이 온라인 수출을 선도.
- 기존 10대 주요 수출국이 아닌 영국(26백만 달러, +180.0%), 네덜란드(16백만 달러, +104.6%)에서 크게 증가.
중기부 이순배 글로벌성장정책관은 "K-뷰티가 전체 중소기업 수출 증가를 견인하고 있는 상황으로, 패션, 푸드 등 K-소프트웨어에 기반한 다른 유망품목도 발굴하여 성장시켜 나갈 것"이라며,
"온라인 수출의 경우, 규모가 증가하고 있고 비용 대비 효과도 좋아 수출초보기업이 활용하기 좋은 만큼 수출 초보기업이 수출을 준비할 때 온라인 수출부터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 이하 중기부)는 8월 4일(월) '2025년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동향'을 발표했습니다.
'23년 4분기에 중소기업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1.6%)된 이후 '25년 2분기까지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7분기 연속 수출플러스를 기록했으며 수출 중소기업 수 역시 78,655개사로 전년동기대비 2.2% 증가하며 역대 상반기 수출 중소기업 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품목
상위 수출품목의 증가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중소기업 전체 수출 상승을 주도
· (1위)화장품
*39.4억 달러(전년동기대비 +19.7%)
K-뷰티 인지도 확대로 미국, 중국과 같은 기존 주력시장 외 UAE(+63.6%), 폴란드(+160.5%) 등 신흥시장 수요도 함께 상승.
· (2위)자동차
*39.2억 달러(전년동기대비 +73.7%)
중동 지역 등에서 높은 인지도, 가격경쟁력 등으로 중고차 수요가 급증했으며 UAE(+97.7%)도 중고차 수출 허브로서 중고차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
■ 국가
미국, 화장품 등 주요 수출품목의 증가세로 수출국 1위 유지
· (1위) 미국
*93.9억 달러(전년동기대비 +1.1%)
화장품(+13.8%), 전력용기기(+27.4%) 등 기존 주력 수출품목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역대 상반기 최고 수출액 기록.
- 철강, 알루미늄은 감소, 자동차 부품은 증가.
· 대만
*15.8억 달러(전년동기대비 +23.3%)
글로벌 반도체 업황 호조에 힘입어 반도체제조용장비(+82.5%), 반도체(+25.5%), 정밀화학원료(+173.7%) 등이 강세.
- 대만 중소기업 상위 10대 품목 모두 증가.
· 베트남
*52.3억 달러(전년동기대비 -5.0%)
수출 상위 10대 품목 중 9개 품목이 감소하며 2분기 연속으로 감소세 유지.
■ 온라인
'25년 상반기 온라인 수출, 5.3억 달러를 기록하며 최초로 5억 달러 돌파
· 2025년 상반기 온라인 수출
*전년동기대비 +12.0%
- 화장품(290백만 달러, +13.7%) 중심으로 증가.
- 온라인 총 수출액 중 중소기업 비중이 77.1%로 중소기업이 온라인 수출을 선도.
- 기존 10대 주요 수출국이 아닌 영국(26백만 달러, +180.0%), 네덜란드(16백만 달러, +104.6%)에서 크게 증가.
중기부 이순배 글로벌성장정책관은 "K-뷰티가 전체 중소기업 수출 증가를 견인하고 있는 상황으로, 패션, 푸드 등 K-소프트웨어에 기반한 다른 유망품목도 발굴하여 성장시켜 나갈 것"이라며,
"온라인 수출의 경우, 규모가 증가하고 있고 비용 대비 효과도 좋아 수출초보기업이 활용하기 좋은 만큼 수출 초보기업이 수출을 준비할 때 온라인 수출부터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