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유아에게 흔한 감염병, 수족구병 예방수칙

영유아에게 흔한 감염병, 수족구병 예방수칙

영유아에게 흔한 감염병, 수족구병 예방수칙

영유아에게 흔한 감염병, 수족구병 예방수칙

영유아에게 흔한 감염병, 수족구병 예방수칙

영유아에게 흔한 감염병, 수족구병 예방수칙

영유아에게 흔한 감염병, 수족구병 예방수칙

■ 수족구병이란 무엇인가요?
장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며, 발열, 손·발 또는 입안에 물집인 수포성 발진이 특징인 질환입니다.
주로 5세 미만의 영유아에게 발생하지만 더 큰 어린이와 성인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 어떤 증상들이 있죠?
입안, 손, 발에 수포성 발진이 주된 증상이며, 입안의 수포 때문에 아이가 음식물 섭취를 힘들어 할 수 있습니다.
드물게 합병증으로 인한 수막염, 뇌염, 폐출혈, 심근염, 급성 이완성 마비가 발생하여 사망할 수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발진과 수포: 혀, 볼 안쪽, 구강 점막, 인두, 구개, 입천장, 잇몸, 입술, 손, 발.
· 전신 증상: 발열, 무력감, 식욕감소.
· 위장 증상: 설사, 구토.
<시기별 증상>
① 잠복기: 접촉 후 3~7일.
② 초기(2~3일): 손, 발 및 입 안 수포, 발열 등.
③ 중기(3~4일): 발진 및 수포 호전.
④ 말기(7~10일): 대부분 호전.
■ 어떻게 감염되는 건가요?
환자의 비말(침방울), 분비물(침, 가래, 콧물, 대변), 수포의 진물 접촉에 의해 감염됩니다.
환자의 분비물에 오염된 물 혹은 물건을 통한 감염도 가능합니다.
(염소 소독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 물놀이를 통해서도 감염 가능)
■ 수족구병 치료방법은?
특별한 치료제는 없으나, 증상 완화를 위해 대증요법을 사용합니다.
- 발열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해열 진통제 사용.
* 아스피린은 소아에게 사용 금지.
- 입안 궤양으로 삼키기 어려워 탈수가 심하면 정맥 수액치료 필요.
■ 수족구병 예방법은?
①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② 옷소매 위쪽이나 휴지로 입, 코를 가리고 기침하기.
③ 아이들 장난감, 놀이기구 등 소독하기.
④ 진료받고 회복 시까지 등원 및 외출 자제.
"수족구병 예방수칙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매달 새로운 건강 지식을 알려주는 이달의 건강소식은 카카오톡 채널 '대한민국 질병관리청'을 추가하고 메시지로 받아보세요."
■ 수족구병이란 무엇인가요?
장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며, 발열, 손·발 또는 입안에 물집인 수포성 발진이 특징인 질환입니다.
주로 5세 미만의 영유아에게 발생하지만 더 큰 어린이와 성인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 어떤 증상들이 있죠?
입안, 손, 발에 수포성 발진이 주된 증상이며, 입안의 수포 때문에 아이가 음식물 섭취를 힘들어 할 수 있습니다.
드물게 합병증으로 인한 수막염, 뇌염, 폐출혈, 심근염, 급성 이완성 마비가 발생하여 사망할 수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발진과 수포: 혀, 볼 안쪽, 구강 점막, 인두, 구개, 입천장, 잇몸, 입술, 손, 발.
· 전신 증상: 발열, 무력감, 식욕감소.
· 위장 증상: 설사, 구토.
<시기별 증상>
① 잠복기: 접촉 후 3~7일.
② 초기(2~3일): 손, 발 및 입 안 수포, 발열 등.
③ 중기(3~4일): 발진 및 수포 호전.
④ 말기(7~10일): 대부분 호전.
■ 어떻게 감염되는 건가요?
환자의 비말(침방울), 분비물(침, 가래, 콧물, 대변), 수포의 진물 접촉에 의해 감염됩니다.
환자의 분비물에 오염된 물 혹은 물건을 통한 감염도 가능합니다.
(염소 소독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 물놀이를 통해서도 감염 가능)
■ 수족구병 치료방법은?
특별한 치료제는 없으나, 증상 완화를 위해 대증요법을 사용합니다.
- 발열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해열 진통제 사용.
* 아스피린은 소아에게 사용 금지.
- 입안 궤양으로 삼키기 어려워 탈수가 심하면 정맥 수액치료 필요.
■ 수족구병 예방법은?
①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② 옷소매 위쪽이나 휴지로 입, 코를 가리고 기침하기.
③ 아이들 장난감, 놀이기구 등 소독하기.
④ 진료받고 회복 시까지 등원 및 외출 자제.
"수족구병 예방수칙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매달 새로운 건강 지식을 알려주는 이달의 건강소식은 카카오톡 채널 '대한민국 질병관리청'을 추가하고 메시지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