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정부, 美인플레감축법 최종 통과 이전부터 총력 대응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부는 美인플레감축법 최종 통과 이전부터 총력 대응했다”고 밝혔습니다.

8월 24일 디지털타임스 <美인플레감축법 정부 뒷북대응 ‘도마 위’>에 대한 산업통상자원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정부는 美인플레감축법 관련, 업계 요청으로 간담회를 개최하고 뒤늦게 우려를 전달하는 등 다른 나라에 비해 안일하게 대응함

[산업부 입장]

① 8.11일 자동차·배터리 업계 간담회(통상교섭본부장 주재)가 산업계 요청으로 개최되었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님

ㅇ 정부는 자동차·배터리 업계에 긴급 간담회를 먼저 제안하여 업계 우려를 청취하고 대응방안을 함께 논의함(8.11) 

② 산업부 장관이 8.22일에서야 WTO 제소를 검토하겠다고 언급하는 등 우리 정부 입장은 한참 뒤에야 나왔다는 것도 전혀 사실이 아님

ㅇ 정부는 인플레감축법이 상원에서 통과된(현지시간 8.7) 직후인 8.10 통상교섭본부장 명의로 美 통상당국에 서한을 보내 WTO 협정과 한미 FTA 등 국제 통상규범 위배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를 전달함

* 美 로이터에서 타국의 첫 대응 보도시 한국, EU 언급

ㅇ 이는 유럽연합 대변인이 8.12 논평을 낸 것보다 빠르며, 형식도 대변인 논평보다 직접적으로 美 정부에 우리 입장을 전달한 것임

③ 동 법이 Build Back Better 법안의 축소판임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입법 과정에서 소홀히 대응하였다는 것도 사실이 아님

ㅇ 우리 정부는 Build Back Better 법안을 지속 모니터링 해왔으며, 차별적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 내용에 대해 25개국 주미대사가 美 의회에 공동서한을 보내는 등 적극 대응해왔음(‘21.10월)

ㅇ 금번 인플레이션 감축법은 Build Back Better법안에서 일부를 따온 것은 맞으나, 전기차에 대한 인센티브(세액공제)는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내용으로 포함된 것이며, 그 과정도 비공개 논의를 통해 초안을 마련하고, 법안 공개후 약 2주만에 전격적으로 처리함

* 인플레 감축법 초안 공개(7.27) → 상원 통과(8.7) → 하원 통과(8.12)

ㅇ 촉박한 시간에도 정부는 의회 최종 통과 이전 USTR에 우려 서한 전달(8.10), 업계 긴급 간담회(8.11), 美 현지 공관을 통한 협의 진행 등 여러 계기를 통해 대응 방안을 모색함

ㅇ 참고로, 미국에 전기차를 전량 수출하는 독일도 미측에 여러 우려를 제기했으나, 미 의회는 원안대로 통과시킴

④ 인플레이션 감축법 대응은 통상조직 이관과 전혀 무관한 사안으로, 우리 업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산업부, 외교부 등 관계부처가 함께 대응하고 있음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미주통상과(044-203-5651)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