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수탁자책임 전문위 구성 변경, 전문성 강화위한 조치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보건복지부는 “이번 수탁자책임 전문위 구성 변경은 전문성 강화를 위한 조치”라고 밝혔습니다.

3월 8일 가판 경향, 서물신문, 서울경제 <수탁자책임위 구성 바꾼 국민연금기금위…친경영계로 기금 개악>에 대한 보건복지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이번 기금위 의결은 재계 편향적인 인적 구성을 위한 기금 개악 

○ 위원을 추천받을 한국금융연구원, 자본시장연구원 등은 친경영계

[복지부 설명]

1. ‘재계 편향적인 인적구성을 위한 기금 개악’에 대하여

○ 수탁자책임 전문위의 검토·심의 분야가 해외주식 주주권 행사 등으로 확대될 예정으로 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지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 해외증권, 기금운용, ESG 등에 관한 충실한 검토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위원 구성이 필요한 상황이나, 가입자 단체에서만 추천 받도록 되어 있어 위원 구성에 한계가 있습니다.

○ 실제 수탁자책임 전문위 1기(‘20.2월~’23.2월) 9명 중 6명이 법률가·회계사 등 특정 분야에 집중되었고, 

- 이번 2기(‘23.2월~’26.2월) 구성을 위해서도 추천을 받았는바 법률가·회계사 등이 대부분이었습니다. 

○ 이에 위원회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가입자 단체 추천을 9명에서 6명(근로자2·사용자2·지역가입자2)으로 조정하고 나머지 3명은 관계 전문가 단체로부터 추천받아, 다양한 전문가를 폭넓게 위촉하려는 것입니다.

* 기금운용위원회의 타 전문위(투자정책, 위험관리·성과보상)도 위원 중 3명은 전문가 단체로부터 추천받아 위촉

수책위 위원 구성 시 추천 단체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포함)
수책위 위원 구성 시 추천 단체

2. ‘추천 받을 수 있는 한국금융연구원, 한국증권학회, 자본시장연구원 등인데 모두 대표적인 친경영계’에 대하여  

○ 장기 수익 제고를 고려한 수탁자책임활동을 위해 자산운용·금융·ESG 분야 등의 전문가들이 위원회에 포함될 수 있도록 관계 연구 기관인 한국금융연구원, 자본시장연구원 등의 추천을 받을 것이며,

- 이에 더하여 경영학회, 재무학회, 증권학회 등 학술적 목적의 관련 전문 학회들의 추천도 받을 예정입니다.

문의 : 보건복지부 연금정책국 국민연금재정과(044-202-3653)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