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지난해 말 적극적 시장안정 조치를 위해 산은 현물출자 추진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2022년말 적극적 시장안정 조치를 위해 산업은행에 현물출자를 추진했다”면서 “현물출자는 정부출자기업체의 고유목적사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3월 8일 한겨례신문 <한전 적자에 산은 휘청…공기업 주식으로 “땜질”하는 정부>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입장입니다

[기사 내용]

ㅇ 정부는 지난해 12월에도 산업은행에 엘에이치 주식 5,650억원어치를 현물 출자했다. 한전이 지난해 연간 24조원대 적자를 내며 산은의 자본 적정성도 나빠져서다…현물 출자는 현금화가 어려운 정부 보유주식을 은행으로 옮겨준 것 뿐이어서 실질적인 실탄 확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ㅇ 정부 돈이 직접 들어가지 않는 까닭에 국회 동의를 받지 않아도 된다. 국회의 공공요금 정책 질타를 피할 수 있는 우회로인 셈이다. 

[기재부 입장]

□ 현물출자는 국유재산법 제60조에 따라 정부출자기업체의 고유목적사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이루어지는 것으로 국회의 질타를 피하기 위한 우회로라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ㅇ 이는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재산을 등가의 자산으로 교환하는 국유재산 관리업무의 하나로서 

- 급박한 경제환경 변화 등으로 출자기업의 자본확충이 시급한 경우 정부가 선제적이고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예산총계주의 원칙의 예외로 국가재정법 제53조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ㅇ 이에 지난 12월 산업은행에 대한 5,650억원 규모의 현물출자를 통한 자본 보강으로 회사채·CP 매입프로그램, 건설사 보증 PF 매입 프로그램 등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금융시장 불안에 대한 정부의 선제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였습니다. 

□ 따라서 기획재정부가 금융시장 안정조치 보완 및 위기대응 여력 선제적 확충을 위해 추진한 현물출자에 대해‘실질적 도움이 되는 일이 아니다’라는 지적은 전혀 사실과 다르므로 보도에 신중을 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 기획재정부 국고국 출자관리과(044-215-5170), 경제정책국 자금시장과(044-215-275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