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11월 19일 오늘의 바로잡는 언론보도

2020.11.19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2020년 11월 19일, 언론보도에 대한 해당 부처의 입장과 설명입니다.

☞ [고용부] 보도된 사업장은 임금체불 위반으로 유죄가 확정된 사업장으로, 올해 4월부터 일자리안정자금 지원을 중단했으며, 현재 부정수급 의심사업장으로 조사 중에 있음.
고용부는 임금체불 사업장이 일자리안정자금을 지원받지 않도록 연계하고 있으며, 지원기간 중 근로자에 대해 임금체불이 발생한 경우에도 지원을 중단하고 있음.
지원기간 중 임금체불 발생이 확정되지 않은 사업장의 경우에도, 관련 다툼이 발생한 사실을 알게 된 경우 해당 월부터 지원을 중단하고 있으며, 향후, 임금체불 사업장 정보에 대한 연계 및 사후관리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음. - 한국일보 <5억 임금체불 ‘나쁜 택시’에 일자리 지원금 1억 넘게 준 정부>

☞ [식약처] 식약처가 제동을 걸고 허가를 내주지 않았다는것은 사실과 다르며, LG전자의 허가 요청에 따라 안전성, 유효성 심사 등 법에서 정한 방법과 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심사 중임.
전자 마스크는 새로운 소재와 기술이 적용된 제품으로 의약외품으로 허가받기 위해 심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해당 심사는 약 100일(근무일 기준 70일)이 소요되며 자료가 부족한 경우 보완이 요구될 수 있음. - 조선일보 <정부에 막힌 ‘전자 마스크’>

☞ [중기부] 중대본 조치에 따라 집합금지 또는 영업 제한을 실제로 이행한 소상공인이 특별피해업종 지원 대상임을 사업 시행초기부터 사업공고, 보도자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관되게 안내했음.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수칙을 위반한 소상공인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며 추후 위반사실 발견시 환수 대상임을 명백히 하는 등 집합금지 영업제한의 실제 이행을 강조해왔음.
또한 당초 정부가 유흥업소와 콜라텍을 지원대상에서 뺐다가 형평성 논란으로 지원 대상에 넣었다는 것은 정확한 설명이 아님. - 한국경제 <코로나지원금 ‘들쭉날쭉’ 잣대에 형평성 논란>

☞ [고용부] 우리 측은 3개 핵심협약(제29호, 제87호, 제98호) 비준 및 관련 법인 노동관계법 및 병역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제105호 협약 비준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형벌 체계 전반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므로, 추후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고 여건이 성숙되면 비준을 추진할 것임을 밝혔음. - 문화일보 <ILO협약 비준하려 국보법·집시법 손보나>

☞ [환경부] 공청회 자료에서 제시된 2050년 재생에너지 및 석탄 발전 비중은 가능한 여러 시나리오 중 하나의 경우로서 확정된 수치가 아님.
향후, 정책성과 평가, 기술발전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정교화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복수안)를 마련할 계획임. - 아시아경제 <2050년 재생에너지 비중 80%까지…석탄발전은>

☞ [환경부] 정부는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 수립 과정에서 민간협의와 사회적 공론화를 충실히 추진해왔음. - 한국경제 <“태양광·풍력 의존 땐 100조 더 들어…탈원전 수정해야”>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