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국가채무비율 국제기준과 다르다? 전혀 사실 아니다

2021.06.02 기획재정부
인쇄 목록

기획재정부는 “현 정부의 국가채무비율이 국제기준과 다르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습니다.

6월 1일 동아일보 <국가채무비율까지 국민 속일텐가>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2021. 6. 1.(화) 동아일보「국가채무비율까지 국민 속일텐가」기사에서,

ㅇ “정부가 2차 추경까지 하면 ‘24년 국가채무비율이 60%를 넘기  때문에 국가채무비율을 GDP 대비 60%로 정한 한국형 재정준칙을 확 늘릴 모양”이며, 

ㅇ “현 정부의 국가채무비율 계산은 국제기준과 다르다”고 보도

- 우리나라는 공기업 부채와 공무원연금이 너무 많아서 국가채무(D1)만 국가부채로 간주하여 산출하고 있으며, 

- 일반정부 채무(D2), 공공부문 부채(D3), 연금충당부채는 정부가 갚을 의무가 없는 것처럼 국가부채가 아니라고 우기고 있음

- 국가채무비율을 국제기준대로 바꿀 경우 106.8%임 

[기재부 입장]

□ (재정준칙) 정부는 재정준칙 관리기준* 변경을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습니다. 

* “국가채무비율/60%” X “통합재정수지비율/△3%” ≤1

ㅇ 정부가 발표(‘20.10월)한 재정준칙을 고려하여, 총량관리노력이 반영된 ‘21-‘25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수립 후 국회 제출할 계획입니다(‘21.9월).  

□ (정부부채 국제비교기준) 정부는 국가채무(D1)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비교기준인 일반정부부채(D2=D1+비영리 공공기관부채) 규모도 매년 산출하여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붙임1)

ㅇ IMF 등 국제기구는 각국의 일반정부부채(D2) 규모를 매년 산출·공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일반정부부채 비율은 GDP대비 42.2%(810.7조원, ’19년)로, 선진국 평균(103.8%)의 절반 이하로 양호한 수준입니다. (붙임2)

* 일반정부부채비율(‘19년, GDP%, IMF) : (미)108.2 (일)234.9 (독)59.6 (프)98.1 (영)85.2  (이)134.6 (캐)86.8 (호)63.1  

ㅇ 비금융공기업부채까지 포함한 공공부분 부채(D3=D2+비금융공기업 부채)의 경우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국제적으로 7개국만이 산출하여 공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부채 규모는 GDP 대비 59.0%(‘19년)로 7개국 중 2번째로 낮은 수준입니다.

* (멕시코)47.5 (한국)59.0 (호주)79.9 (영국)89.7 (캐나다)117.5 (포르투갈)126.2 (일본)253.6

□ (연금충당부채) 연금충당부채는 원칙적으로 재직자(공무원, 군인)가 납부하는 기여금 등 연금보험료 수입으로 충당하므로 나라가 갚아야 할 국가채무와는 성격이 전혀 상이합니다. 

ㅇ 다만, 국가결산보고서상 재무제표상 부채*를 산출하면서 연금충당부채 등 비확정부채를 계산하는 이유는 미래시점에 재정부담을 초래할 가능성에 대해 사전에 분석하고 대응하기 위함이며,

* 확정된 부채 외에도 연금충당부채 등 장래에 일정한 조건이 발생하였을 경우 채무가 되는 비확정부채를 포함, 발생주의 기준에 따라 작성

ㅇ 연금충당부채 규모는 미래(77년간)의 연금수입은 고려하지 않고 지출액만 추정한 금액입니다. 

ㅇ 다만, 우리나라를 포함한 13개 국가만이 연금충당부채를 포함하여 국가결산보고서에 재무제표상 부채*를 산출하고 있으며, 이 경우에도 우리나라 재무제표상 부채비율*은 주요국 대비 낮은 수준입니다.  

* 재무제표상 부채비율(GDP대비%, ’19년) : (한) 91.1 (미) 130.9 (영) 213.6 (일) 229.9

□ 따라서, ①정부의 국가채무비율 계산이 국제기준과 다르고 ②정부부채 통계로 국가채무(D1)만 산출·공개하고 있으며, ③공기업 채무 및 연금충당부채 규모가 크기 때문에 공공부문 부채(D3)와 연금충당부채를 합산하고 있지 않다는 것은 사실과 전혀 다르므로 보도에 신중을 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 기획재정부 재정혁신국 재정건전성과(044-215-7130)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