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작업환경과 무관하게 발생 질병, 중대재해처벌법상 직업성 질병 해당 안돼

2021.07.12 고용노동부
인쇄 목록

고용노동부는 “중대재해처벌법상 직업성 질병은 업무기인성을 전제로 하며, 작업환경과 무관한 활동에 의한 질병은 해당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7월 9일 한국경제(인터넷) <열사병도 처벌 대상 중대질병?…기업계·노동계 모두 ‘불만’>, 매일경제(인터넷) <‘에어컨 세균’ 감염도 중대재해법 적용한다>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한국경제 >

ㅇ산재의 범위와 관련해서는 직접적인 부상 등과 별개로 중대재해법을 적용받는 직업성 질병의 범위가 대폭 확대되었다. B형간염과 열사병, 여름 감기와 증상이 비슷하다는 레지오넬라증도 포함됐다.

ㅇ“직업성 질병 목록만 있을 뿐 중증도 기준이 전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경미한 질병까지 중대산업재해가 됐다”는 비판이 나오는 배경이다.

< 매일경제 >

ㅇ재계는 중증도(부상자의 6개월 이상 치료) 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작업 환경과 발병사이의 인과관계가 약한 질병까지 중대산업재해로 간주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ㅇ작업환경이 아닌 일반 환경에서도 종종 발생하는 질병이 직업성 질병에 포함되면서 경영계는 강력 반발하고 있다. 열사병은 더운 날 야외에서 활동하다 보면 업무와 무관하게 발생할 수 있고, 레지오넬라증을 유발하는 레지오넬라균도 에어컨, 가습기, 수도꼭지 등 물이 있는 곳에는 어디든 존재하기 때문이다.

[고용부 설명]

□ 입법 예고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상 직업성 질병은 ①사업주의 예방 가능성 ②인과관계 명확성 ③피해의 심각성 등을 고려하여 관계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선정하였음

ㅇ 직업성 질병의 목록에 단순히 질병명만 나열한 것이 아니고 “어떤 원인에 기인(업무, 원인물질 등)한 질병”으로 기재하였으므로, 

* ▶ 보건의료 종사자에게 발생한 B형간염, C형간염, 매독, 후천성면역결핍증 등 혈액전파성 질병

▶ 오염된 냉각수 등으로 발생한 레지오넬라증

▶ 덥고 뜨거운 장소에서 하는 업무로 발생한 열사병

- 작업환경과 무관한 활동 등에 의해 발생한 질병은 「중대재해처벌법상」 직업성 질병에 해당하지 않음

< 기사에 언급된 질병에 대한 설명 >

ㅇ(열사병) 용광로 등 고열 장소에서 작업하는 종사자의 열사병(발작, 경련 등 중추신경계 기능 이상) 등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온도·습도 조절 장치 설치 등 의무(제558조~제572조)가 있음

ㅇ(B형간염 등 혈액노출 감염병) 병원 등 의료업에서 일하는 종사자의 경우 주사침 상해 사고로 인한 혈액노출 감염병에 걸릴 우려가 있어,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개인보호구 지급 등 의무(제592조~제600조)가 있음

ㅇ(레지오넬라증*) 냉난방장치 등 공기정화설비를 갖춘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미생물로 인한 사무실 공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주기적 검사·보수 등의 의무(제647조~제651조)가 있음

* 미국의 경우 연간 8,000∼18,000명이 레지오넬라증으로 입원치료를 받으며, 환자의 절반은 중환자실 치료, 사망률은 약 10%로 위중한 질병임(’19년 레지오넬라증 관리지침, 질병관리청)

□ 정부는 입법예고(’21.7.12.~8.23.) 기간 중 노·사 등에서 제안하는 다양한 의견을 충실히 검토하여 시행령안을 확정할 예정임

문의 : 고용노동부 중대산업재해감독과(044-202-7601)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