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36조(벌칙)
-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 및 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콘텐츠 영역
팔이 자주 저렸던 이유가 목디스크가 원인?
‘척추’라는 단어를 들으면 허리 부분이 먼저 생각나는 분들 많으시죠? 사실, 척추는 사람의 목에서부터 엉덩이 부분까지 골격을 이루는 모든 뼈를 말합니다. 사람의 척추는 경추, 흉추, 요추, 천추 총 4가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우리가 흔히 말하는 ‘목디스크’는 바로 경추 부분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심평원 블로그에서는 지난 한 해 동안 40대 입원 환자가 가장 많았던 질병의 정보와 관리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오늘은 여섯 번째 시간으로 ‘경추간판장애’, 목디스크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9년 경추간판장애로 진료 받은 환자는 101만 4185명이었는데요. 2015년부터 꾸준히 환자가 증가해왔습니다. 이 중 40대 환자는 20만 1545명으로 전체 환자의 약 20%를 차지했습니다.
경추간판장애, 왜 생기는 걸까요?
경추간판장애는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해주는 추간판, 즉 디스크가 제 위치를 벗어나며 생기게 됩니다. 목에 직접적인 외상을 입어 갑자기 생기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일상생활의 잘못된 습관이나 자세 등에 의해 서서히 증상이 나타나는데요.
1. 머리와 목을 앞으로 내민 채 장시간 앉아있는 경우
2. 높은 베개를 사용하는 경우
3.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들어 올리는 경우
4. 시력이 나빠 눈을 찡그리며 목을 앞으로 빼고 물건을 보는 경우
5.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계속해서 신는 경우
위와 같은 생활 속 잘못된 습관이 쌓인다면 경추간판장애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경추간판장애를 의심해보세요.
목뼈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는 부분을 목으로 한정해서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경추간판장애는 목 외에도 다양한 곳에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목 부분의 통증은 물론, 어깨, 팔, 손바닥, 그리고 손가락까지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외에도 만지면 전기가 오는 듯 저린 느낌을 받는 감각 이상이나, 손에 쥐는 힘이 떨어져 물건을 잘 놓치는 근력 약화 증상도 경추간판장애의 증상 중 하나입니다.
바른 자세가 경추간판장애 예방의 시작입니다. 경추간판장애를 포함한 모든 척추 질환의 공통적인 예방법은 바로 바른 자세입니다.
가장 좋은 자세는 허리를 곧게 펴고 턱을 가슴에 붙인 자세입니다. 경추간판장애를 예방해줄 뿐만 아니라, 이미 어느 정도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도 해당 자세를 통해 신경의 압박이 줄어 통증이 나아질 수도 있습니다.
오랜 시간 앉아 있다면 엉덩이는 최대한 의자 안에 붙이고 허리는 세운 자세로 앉아야 척추에 가는 무리를 줄여줍니다. 또 틈틈이 먼 곳을 보며 허리, 목을 돌려주며 몸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보다 장시간 앉아있거나, 고갯짓을 잘못한 경우 등 일상 속에서 목에 통증을 느끼는 일은 많습니다. 하지만, 1~2주 이상 증상이 지속되거나 다른 부위까지 통증이 동반된다면 빠른 시일 내에 병원을 방문해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