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귀 빠진 날’의 단상

2020.10.27 한기봉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윤리위원
인쇄 목록

얼마 전 친구 생일 축하 모임을 가졌다. 코로나도 있고 해서 한동안 격조했던 친구들끼리 단톡방에서 이야기를 나누다 한 명이 귀 빠진 날이라는 걸 알게 됐다. 그렇잖아도 다들 마음은 주저주저하면서도 몸은 근질근질했는데 좋은 구실이 생긴 거다. 모처럼 네 명이 모여 가을 전어를 안주로 한잔 했다.

자연스레 생일에 대한 이야기가 오고갔다. “아침에 미역국은 얻어 먹었냐”부터 “이제 우리 여생에 생일이 몇 번이나 남았을까”하는 쓸쓸한 대화까지 나누다 생각지 않게 많은 걸 깨닫게 됐다.

우선 쓸데없이 박학다식한 한 친구가 물었다.
“생일을 왜 귀 빠진 날이라고 부르는지 알아?”
“그러게 코나 눈 빠진 날도 아니고, 왜 하필 귀 빠진 날이지?”
 
태아는 머리부터 세상에 나오는데 산모에겐 그때가 가장 힘들고 고통스러운 순간이다. 산부인과도 제대로 없던 시절, 시골집에서 순산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어머니들은 해산할 때 댓돌 위에 고무신을 벗어놓고 ‘내가 다시 저 신을 신을 수 있을까’ 하고 방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태아는 머리가 어깨 너비보다 크다. 그래서 일단 귀가 보이는 게 중요했다. 귀가 빠져나오면 몸통과 다리는 순조롭게 따라 나오니 출산은 다 한 거나 다름없다고 한다.

한 친구가 진지하게 물었다.
“그래. 그런데 생일은 어머니가 가장 고생한 날인데 왜 생일 축하는 저희들끼리만 하지?”

그 친구 이야기를 들으며 난 적잖이 감동했다.
그는 결혼을 해서 아내가 아이를 낳는 걸 보며 생일의 주인공은 자기가 아니라는 걸 문득 깨달았다고 한다. 그 후 그는 생일에는 꼭 어머니 아버지에게 미역국을 끓여 드리거나 맛있는 걸 사드리고 선물을 드렸다고 한다. 아버지의 그런 모습을 보고 자란 그의 아이들도 자신의 생일에는 그렇게 따라 한다고 한다.

그 말을 듣고 나니 나는 귀가 빨개졌다. 결혼 후 내 생일에 부모를 생각한 적이 있었던가. 어머니가 멀리 계시긴 하지만 아내와 아이들하고만 즐겁고 오붓하게 생일상을 먹었다. 어머니는 내 생일에는 가족과 좋은 데 가서 외식하라고 돈을 부치시곤 했는데도 난 정작 어머니에겐 스웨터 하나 선물한 적 이 없다. 다른 때는 문안 전화를 곧잘 하면서도 막상 생일에는 “저를 낳느라고 얼마나 힘드셨어요”라는 감사 전화 한 번 한 적이 없다. 생일은 내 것인 줄만 알았다. 내 어머니는 얼마나 섭섭하셨을까.

친구는 생일 아침에 미역국을 먹는 관습은 출산의 고통을 겪으며 생명을 주신 어머니의 은혜를 잊지 말라는 의미라고 말해줬다. 그래서 귀 빠진 날에는 자기가 미역국을 먹는 게 아니라, 귀를 빼준 어머니에게 미역국을 끓여드려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다시 화제가 ‘귀’로 넘어갔다. 그 박학다식한 친구가 귀 이야기를 많이 해줬다. 그 진위는 모르겠으나 귀는 귀퉁이에 붙어있어서 ‘귀’가 됐다고 한다.

사람이 잘났다고 말할 때 왜 이목구비(耳目口鼻)가 반듯하다고 할까. 눈, 입, 코도 있는데 왜 귀(耳)를 앞세웠을까? 귀는 얼굴의 핵심 지점도 아니고 변방에 달려있는데도 말이다. 그건 그만큼 귀가 소중한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맨 앞에 간 거라고 한다. 늘 남과 세상에 귀를 기울이며 살아야 한다는 뜻이라고 한다. ‘귀엽다’는 단어는 남의 말을 잘 귀담아 듣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라는 우스개까지 곁들였다.

말은 하고 싶은 대로 할 수 있지만, 듣는 것은 가려들을 수는 없다. 듣는 것은 그래서 신의 뜻이라고 한다. 남이 내 험담을 할 때 ‘귀가 가렵다’는 표현을 생각해 보라고 한다. 입은 하나인데 눈과 귀가 두 개인 건, 말하는 것보다 듣고 보기를 두 배 하라는 의미라고 한다.
 
공자는 나이 60을 귀가 순해진다는 이순(耳順)이라 했다. 이는 원래 무슨 말을 들어도 그 이치를 깨달아 이해한다는 의미이지만, 무슨 말을 들어도 사사로운 감정에 얽매이지 않는 관용이 진짜 의미라고 한다. 선현들은 나쁜 말을 들으면 곧장 달려가 시냇물에 귀를 씻는다 했다. 난 이순의 나이가 넘었지만 그 경지에 언제나 도달할 수 있으려나.

늘 내 얼굴 귀퉁이에 붙어있지만 관심을 갖지 않았던 귀. 친구의 귀빠진 날에 귀에 대해 많은 걸 생각하고 깨닫게 됐다. 귀야, 미안하다. 그리고 내년 내 귀 빠진 날에는 꼭 어머니를 모셔다가 미역국을 끓여드리리라.

한기봉

◆ 한기봉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윤리위원

한국일보에서 30년간 기자를 했다. 파리특파원, 국제부장, 문화부장, 주간한국 편집장, 인터넷한국일보 대표,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회장을 지냈다.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초빙교수로 언론과 글쓰기를 강의했고, 언론중재위원을 지냈다. hkb821072@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