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22년도에 개통되는 국도는 몇 개?
뮤지컬의 상징 브로드웨이
금융의 중심 월가(Wall st)
파리에서 가장 매혹적인 상젤리제
셜록 홈즈가 살았던 베이커 가
이렇게 도로에는 저마다의 이름과 번호가 있는데요!
그렇다면 우리나라 도로에 붙은 번호는 어떻게 정해질까요?!
도로관리지침에 의한 번호 체계를 알아보겠습니다~!
◆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번호 체계
- 남북 방향은 홀수,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숫자가 ‘10’씩 커짐
- 동서방향은 짝수, 남쪽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숫자가 ‘10’씩 커짐
◆ 도로의 규모에 따라 자릿수가 달라짐
① 국토를 종단 또는 횡단하는 간선노선은 두 자릿수
- 남북방향은 끝자리가 5 / 동서방향은 0
② 간선노선에서 갈라져 나온 노선도 두 자릿수
-남북방향은 끝자리에 1,3,7,9 / 동서방향은 2,4,6,8
③ 인근 도시나 항만, 공항을 잇는 짧은 지선은 세 자릿수
- 앞 두 자리는 관련된 간선노선 및 보조 노선 사용
- 남북방향은 끝자리에 1,3,5,7 / 동서방향은 2,4,6,8
◆ 예외 고속도로 표기
- 순환 고속도로는 세 자릿수, 앞자리는 해당 지역의 구) 6자리 우편번호 사용
*예시 : 대전 남부 순환도로 300(충청지역 우편번호 300번대)
- 우리나라 도로 번호 중에 가장 예외인 도로는!?
바로 경부고속도로인데요 바로 한 자릿수입니다.
최초로 만들어져서 한 자릿수라고 생각하실 수 있으나, 우리나라 최초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가 아닌 경인고속도로(1968.12.21. 완공)입니다
◆ 일반국도는 어떨까요?
일반국도는 우리나라 최초로 생긴 국도를 1번으로 시작하여,
- 남북방향은 서쪽에서 동쪽 방향으로 1,3,5,7 / 동서방향은 남쪽에서 북쪽 방향으로 2,4,6,8
◆ 예외 일반국도 표기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일반 국도인 77번 국도는
동해안을 따라가는 7번 국도를 모티브로 번호가 생성
◆ 도로 번호는 표지판에서 확인
- 방패 모양 : 고속도로와 자동차 전용도로
- 파란 원형 : 나라에서 직접 관리하는 일반국도
- 하얀 팔각형 : 시내 도로 및 시도, 군도의 도로
- 노란 직사각형 : 지역의 시, 군청 소재지를 연결하는 지방 도로
◆ 도로의 종류에 따라 다른 표지판 색
- 초록색 : 고속국도, 자동차 전용도로, 일반국도, 지방 지역 도로
- 파란색 : 시, 군, 도심지역
- 갈색 : 주요 문화제, 관광지, 명소 등
올해에는 19개의 국도가 개통될 예정인데요.
그중에서도 12월에 개통을 예정하고 있는 상패-청산 구간의 도로는 3번 국도의 우회 도로로써 공사기간만 2009년부터 진행 중에 있습니다.
개통이 된다면, 서울 경계에서 연천까지 30여 분, 강원-철원까지 1시간이면 갈 수 있습니다.
각각 5월, 9월에 개통되는 주상-한기리 1구간, 주상-한기리2 구간 역시 3번 국도의 일부로, 거창과 김천을 편하게 오고 갈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하니 기대를 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2021년부터 25년까지 제4차 국도·국지도 건설 계획과 제2차 도로관리 계획에 힘써 국민을 위한 새로운 길, 안전한 길을 만들어 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