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휴가 떠나기 전 '개인정보' 단단히 잠그세요"

8월 31일까지 온라인상 개인정보 노출·불법유통 집중 대응
"소비쿠폰 신청 등 URL 클릭 금지"…3대 안전 수칙 안내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여름 휴가철을 맞아 여행·숙박·교통 디지털 서비스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의 이용량 급증에 대비해 온라인상 개인정보 노출 및 불법유통에 집중 대응한다.

개인정보위는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함께 내달 31일까지 온라인상 개인정보 노출 및 불법유통에 대한 집중 탐지 기간을 운영한다며 28일 이같이 밝혔다.
 개인정보 노출·불법유통 집중 탐지 포스터(이미지=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제공)

개인정보 노출·불법유통 집중 탐지 포스터(이미지=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제공)

특히 불법스팸·스미싱 등에 악용될 수 있는 게시물이 게재될 가능성이 높은 여행 관련 사이트·커뮤니티·SNS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볼 방침이다.

또한 주요 포털 및 관계망서비스 운영사업자 등과 협력채널(핫라인)을 운영하고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불법스팸·스미싱 등에 악용될 수 있는 게시물에 대한 신속한 삭제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이어 여행, 숙박, 외식, 교통 등 디지털 기반 예약·결제 서비스 이용객을 위해 '3대 개인정보 안전 수칙'을 안내했다.

먼저, 여행 후기·정보 등을 온라인에 게시할 때 개인정보는 마스킹해야한다. 여행객들이 관계망서비스나 여행 커뮤니티 등에 개인정보가 포함된 항공권, 사진 등을 무심코 게시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다수가 이용하는 기기를 사용할 때는 기록이 남지 않게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사용 및 음악 청취를 위해 블루투스 등을 렌터카와 연결했던 기록은 반드시 삭제하고, 숙박시설 셀프체크인 무인 단말기(KIOSK) 사용 후에는 종료 화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아울러 의심되는 문자·이메일 링크를 클릭하지 말고 앱(APP) 설치는 거부해야 한다. 특히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등과 관련해 웹주소(URL) 클릭을 유도하거나 앱 설치를 유도하는 문자메시지 등은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남석 개인정보위 조사조정국장은 "여름 휴가철은 야외활동과 더불어 디지털 서비스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해 일상 전반에서 개인정보가 무심코 유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시기로 생활 속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이번 점검 기간 동안 불법 유통 경로를 선제적으로 차단하고 유관기관과 협력을 통해 탐지된 게시물에 대해 신속한 대응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문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조사총괄과(02-2100-3161)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