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제로페이

2019.08.08 .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1. ‘제로페이’란?

제로페이는 소상공인의 카드수수료 부담 완화를 위해 핀테크 기술을 활용하여 0%대 수수료율이 가능하도록 정부와 지자체, 은행과 민간 사업자가 함께 협력하여 만든 계좌 기반의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다. 참여하는 여러 사업자들이 공동 QR코드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결제 인프라 관리비용을 절감했다.

안드로이드/iOS 운영체제 스마트폰에서 43개 은행·간편결제 앱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연말 소득공제 혜택이 있다.

소상공인 가맹점 수수료는 연매출액을 기준으로 8억원 이하는 0%, 8억원~12억원은 0.3%, 12억원 초과는 0.5%가 적용된다. 그 외 일반 가맹점은 수수료 1.2%를 기준으로, 참여 사업자간 협의로 결정한다. (신용카드로 결제할 경우 매출액의 0.8~2% 이상을 카드수수료로 부담)

소비자는 안드로이드/iOS 운영체제 스마트폰에서 43개 은행·간편결제 앱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연말 소득공제(30%)혜택이 있다.

참고자료

[블로그] 자영업자와 함께 만든 자영업 성장·혁신 종합대책 장관 브리핑 (2018.12.20. / 중소벤처기업부)
[카드뉴스] 제로페이 Q&A 다~ 알려주마! (2019.02.07. / 중소벤처기업부)

2. 도입배경 및 추진현황

도입배경

세계적으로 핀테크(IT기술과 금융의 결합)를 활용한 낮은 수수료의 지급결제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카드기반 결제서비스로 인해 간편결제 서비스 도입이 지연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6년 하루 평균 우리나라는 카드 54.8%, 체크·직불카드 16.2%, 현금 13.6%, 계좌이체 15.2%, 전자화폐 등 0.2%로 결제가 이뤄지고 있다. 반면 중국은 모바일 결제의 약 90%를 위쳇페이(수수료 0.6%)와 알리페이(수수료 0.5%)로 사용한다.

정부는 소상공인의 신용카드 수수료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2017년 7월에 카드수수료를 인하했다. 3억원 이하 영세사업자 0.8%, 5억원이하 중소사업자 1.3%, 평균 2.1% 인하했으나 그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2018년 4월 서울시 실태조사에 따르면 편의점 카드수수료는 900만 원으로 영업이익의 31%, 제빵 프랜차이즈는 1,200만 원으로 영업이익의 52%를 차지했다. 카드 결제 관행으로 인해 수수료가 소상공인들에겐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해 중소벤처기업부는 2018년 7월 결제 중간단계가 없는 소상공인 간편결제 서비스 도입 계획을 발표했다.

추진과정 및 서비스 현황

  • 2018.07.25 - 소상공인 간편결제 제로페이 도입 발표 및 민관 합동 업무협약 체결
  • 2018.11.~12 - 시범실시 앞두고 은행·간편결제사 28곳이 참여 신청
  • 2018.12.20. - 서울시, 부산시, 경상남도에서 시범 서비스 시작
  • 2019.01.28. - 제로페이 전국 가맹점 모집 시작
  • 2019.05.02. - 전국 GS25, CU,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이마트24 편의점 서비스 시작
    - 제로페이 결제방식 개선 (가맹점 QR키트 촬영 방식 → 소비자 제시 QR 결제 기능 병행)
    - 고속도로 휴게소(25개) 제로페이 결제 서비스 시작
  • 2019.06.24. - 코레일유통(주) 운영 213개 역사 975개 매장 서비스 시작
  • 2019.07.01. - 정부·지자체 업무추진비(관서운영경비) 제로페이 결제 추진(국고금관리법시행규칙 개정·시행)
  • 2019.07.08. - 제로페이 상생프랜차이즈 37개 지정
  • 2019.08.20. - 온누리 모바일 상품권 제로페이 구매, 사용 기능 시행(10%)
    - 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 5~10% 할인판매(2020.01.01.~2020.12.31.)
  • 2019.08.20. - 온누리 모바일 상품권 제로페이 구매, 사용 기능 시행(10%)
    - 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 5~10% 할인판매(2020.01.01.~2020.12.31.)
  • 2019.12. - 기업 및 법인 제로페이 서비스 시작
  • 2020.06.26. - 동행세일 협업 페이백 실시(2020.06.26.~2020.07.07.)
  • 2020.07.03. - 제로페이 결제액 5천억 원 달성
  • 2020.11.01. - 코리아세일페스타 협업 이벤트 실시(2020.11.1.~2020.11.14)
  • 2020.12. - 해외 제로페이 서비스(위챗페이 연계) 시작
  • 2020.12.19. - 크리스마스마켓 페이백 이벤트 실시(2020.12.19.~2020.12.31.)
  • 2020.6.16. - 온라인 제로페이 도입(공영홈쇼핑)
  • 2020.7.14. - 전국 가맹점 100만개 돌파
  • 2021.10. - 제로페이 누적결제액 3조원 달성
[협약기관] - (정부·지자체) 중소벤처기업부,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전라남도, 경상남도 - (참여기업) 갤럭시아머니트리, 네이버파이낸셜,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 로드시스템, 롯데멤버스, 비즈플레이, 세틀뱅크, 십일번가, 에스에스지닷컴, 엔에이치엔, 페이코, 이베이코리아, 코레일네트웍스, 쿠콘, 티머니, 핀크, 하나카드, 한국정보통신, 하렉스인포텍, KIS정보통신, SK플래닛, 케이에스넷, 한패스, 더페이 - (참여은행) 광주·경남·국민·기업·농협·대구·부산·산업·수협·신한·우리·전북·제주·하나·SC제일은행, 케이뱅크, 농협중앙회, 산림조합중앙회, 새마을금고, 수협중앙회, 신협중앙회, 우정사업본부 - (판매자단체) 서울상인연합회, 소상공인연합회, 전국가맹점주협의회,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한국편의점산업협회,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수퍼마켓협동조합, 대한미용사회, 제주중앙상가 청년몰, 한국외식업중앙회 - (소비자단체) 금융소비자연맹

참고자료

[블로그] 진행과정 한눈에-소상공인 간편결제 제로페이 도입 (2018.07.25.) [보도자료] 제로페이, 12.20일부터 시범운영, 결제수수료 0%대 시대 열려 (2018.12.20.) [정책뉴스] 결제수수료 0% ‘제로페이’ 시범서비스 시작 (2018.12.20. / 서울시) [브리핑] 자영업자와 함께 만든 자영업 성장·혁신 종합대책 (2018.12.20. /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보도자료] 제로페이! 전국으로 확산 추진 (2019.01.25.) [블로그] 제로페이 2월 이후 결제 증가 추세 (2019.03.06.) [정책뉴스] 5월 2일부터 전국 4만3000개 편의점서 ‘제로페이’ 결제된다 (2019.05.01.) [정책뉴스] 5일부터 25개 고속도로 휴게소도 ‘제로페이’ 결제 개시 (2019.05.03.) [보도자료] 중기부-코레일-코레일유통, 모바일직불결제(제로페이) 확산업무협약 체결 (2019.06.25.) [블로그] 37개 상생프랜차이즈, 제로페이 확산 추진! (2019.07.08.) [보도자료] 비접촉 결제수단 ‘제로페이’ 2년여 만에 가맹점 50만개 돌파 (2020.05.11.) [블로그]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합니다 ‘제로페이’ (2020.05.12.) [보도자료] 동행세일에 힘입어 ‘제로페이’ 결제액 5,000억원 돌파 (2020.07.02.) [블로그] 제로페이, 동행세일 덕분에! 5,000억원 돌파 (2020.07.02.) [블로그] 중기부 중앙정부 최초 업무추진비 제로페이로 (2020.09.21) [보도자료] 비대면 결제수단 ‘소상공인 간편결제’ 2년여 만에 결제액 1조원 돌파 (2020.11.12.) [블로그] 비대면 결제수단 ‘소상공인 간편결제’ 2년여 만에 결제액 1조원 돌파 (2020.11.13.)

3. 결제방법

제로페이 참여 사업자는 22개 은행 등 금융회사와 21개의 핀테크앱이다. 기존에 사용하던 은행, 간편결제사의 앱을 그대로 사용한다. (2021년 11월 말, 사용가능 앱은 은행과 간편결제앱 총 43개)

결제 방법으로는 △가맹점 비치 QR키트 결제방식 △소비자 제시 QR코드 결제방식이 있다.
- 가맹점 비치 QR키트 결제방식은 결제앱을 열어 가맹점의 QR키트를 촬영하고 금액을 입력하면 된다.  
- 소비자 제시 QR코드 결제방식은 결제앱을 열어 자신의 QR코드를 생성하여 제시하면, 가맹점 리더기로 스캔해 결제된다.

판매자QR결제-①고객이 QR코드 스캔 ②금액, 비밀번호 입력 ③결제통보 및 확인 소비자QR결제 - ①고객 핸드폰의 QR제시 ②리더기 QR코드 인식 ③결제완료

참고자료

4. 추진 성과

제로페이는 2022년 1월 14일 기준, ▲가맹점수 약1,378,501개, ▲결제액 3,509,245백만 원, ▲가맹점 수수료 절감액 28,920백만 원, ▲부가가치세 공제액 2,506,371만 원을 기록하고 있다.

5. Q&A

Q. 소상공인이란?
A.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광업·제조업·건설업·운수업은 상시근로자 수 10인 미만 사업자, 그 외의 업종은 상시근로자 수 5인 미만 사업자를 말한다.

Q. 제로페이 가맹점 가입 자격은?
A. 소상공인뿐 아니라 사업자 번호를 가진 법인 또는 개인사업자라면 누구나 온·오프라인으로 신청 가능하다.(단 도박, 사행성 업체 등 일부 업종 제외)
- 준비서류 : 대표자 신분증, 사업자 등록증(사본가능), 입금계좌 사본 각 1부

Q. 가맹점 신청은 어디에서 어떻게?
A. ① 온라인 접수 : 제로페이 홈페이지 가입 → 가맹점 등록신청 → QR코드 발송 → 가맹점주 앱 설치
※ 제로페이 가맹점용 누리집 바로가기 www.zeropay.or.kr
② 오프라인 접수 : 지방중소벤처기업청, 소상공인진흥공단 지역센터, 행정복지센터(일부 지자체) 등 방문접수 신청서작성·제출 → QR코드 발송 → 가맹점주 앱 설치

우리 지역 지방중소벤처기업청 찾기
우리 지역 소상공인진흥공단 찾기
가맹점용 앱 다운로드(안드로이드/IOS버전)
• 문의 : 소상공인간편결제추진사업단 종합상담 콜센터 1670-0582

Q. 가맹점 신청 후 진행 절차는?
A. 가맹점 신청이 접수되면 해당 사업자의 소상공인 해당 여부와 적용 수수료율 등을 확인하고 최종계약 체결 후 판매점 비치용 QR키트를 배송하고 적용 수수료율을 안내합니다.

Q. 받을 수 있는 혜택은?
A. ① 소득공제 30%, 전통시장 사용분과 합산하여 추가 공제한도 1백만 원 인정
② 가맹점 수수료 0%(8억이하), 0.3%(8억 초과 12억 이하), 0.5%(12억 초과), 일반가맹점은 신용카드 수수료율 보다 낮은 수준
③ 서울, 경남 등 지자체 공공시설(공용주차장, 문화시설 등) 이용료 할인
④ 정부, 지자체, 결제사업자가 다양한 제로페이 프로모션 혜택 제공
⑤ 모바일 온누리·지역사랑 상품권 5~10% 할인 구입 가능(~2020.12.31.)

6. 참고자료/누리집

• 관련누리집 : 제로페이
• SNS : 제로페이 블로그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중소벤처기업부 트위터(#알려줘중기씨)
• 모바일 앱 : 뱅크페이(안드로이드 / iOS)  / 제로페이(가맹점용)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