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민간인증서 확산 적극지원으로 65개 공공웹사이트 민간인증서 도입

2021.12.20 행정안전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행정안전부는 “민간인증서 확산을 적극 지원해 현재 65개 공공웹사이트가 민간인증서를 도입했다”고 밝혔습니다.

12월 19일 SBS <공인인증서 폐지 1년…곳곳에선 여전히 “인증하세요”>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가족관계증명서, 운전면허갱신, 보육료결제 등 다수 정부사이트에서 공동인증서를 여전히 요구하고 있어 보안프로그램 설치 등의 불편함이 계속된다고 지적

[행안부 입장]

○ 작년 12월, 전자서명법 개정으로 공인인증서의 독점적 지위가 폐지되어 민간인증서도 공인인증서와 동일한 효력을 갖게 되었습니다.

○ 이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올해 1월부터 홈택스, 정부24, 국민신문고에 민간인증서 5종*을 시범적용한 후 타 공공웹사이트로의 확산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 현재, 운전면허갱신(안전운전통합민원), 보육료결제(아이사랑)를 포함한 65개 공공웹사이트에 민간인증서를 적용하고 있으며, 해당 사이트에서는 공동인증서 외에도 민간인증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또한, 공공분야에 적용되는 민간인증서 종류도 7종**으로 확대하였습니다.

* 카카오, 통신사PASS, 삼성PASS, KB국민은행, 페이코   ** 네이버, 신한은행

※ 대법원의 가족관계증명서 발급은 민간인증서 미적용

○ 행정안전부는 국민들이 편의를 체감할 수 있도록 공공분야에 민간인증서를 확산하는 데 더욱 속도를 높여 나갈 계획입니다.

문의 : 행정안전부 디지털안전정책과(044-205-2748)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