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은 4일 “코로나 확진 문자를 받으면 보건소의 별도 연락이 없더라도 동네 병·의원에서 의료상담과 약 처방을 무료로 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을 진행한 이 제1통제관은 “지금까지 재택치료 중에 가장 중요하고 궁금해 하신 부분은 건강관리, 즉 모니터링 부분”이라며 이와 같이 설명했다.
아울러 “재택치료 참여 의료기관이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면서 “많은 국민들께서 검사방법과 전화상담 처방에 익숙해지면서 재택치료가 이제는 어느 정도 안정기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제1통제관은 “확진 판정 이후 환자들은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으로 나누어지게 되고, 건강 관리방법도 달라지게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집중관리군은 매일 두 번씩 전화 모니터링을 받게 된다”면서 “따라서 집중관리군은 모니터링하는 집중관리 의료기관을 통해 필요한 약을 편리하게 처방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반관리군은 확진 판정 직후부터 필요하면 언제나 가까운 병·의원을 이용하면 된다”면서 “전화상담을 무료로 받으시고 약 처방 또한 무료로 받으실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네이버와 다음 포털에서 코로나19 전화상담 병·의원을 검색하면 집 근처에 있는 동네 병·의원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찾아서 이용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오미크론의 특성 및 무증상·경증 환자 다수 발생에 대비해 재택치료 관리 여력을 지속 확대해가고 있는데, 관리의료기관은 현재 834개소로 23만명 이상의 집중관리군을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이다.
또한 재택치료자 일반관리군 대상 전화상담 및 처방이 가능한 동네 의료기관은 전국 7734개가 운영되고 있고, 이외 24시간 운영되는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도 전국 220개다.
이와 함께 재택치료 중 필요한 경우 검사와 처치, 수술, 단기입원 등 대면진료가 가능한 외래진료센터는 118개이며, 재택치료 생활안내 및 격리해제일 등 행정적 문의 대응을 위한 재택치료 행정안내센터는 238개가 각 지자체별로 운영되고 있다.
이 제1통제관은 “정부는 참여 의료기관을 계속 확대하고 환자·보건소·지자체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재택치료에 불편이 없도록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 모든 총력을 다해 중증과 사망 피해를 최소화하고, 우리 국민들께서 일상회복을 맞이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의 :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소통팀(044-202-1714), 생활방역팀(044-202-1721)
다만,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