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알면 반드시 도움 되는 ‘2022년 어르신 지원 정책’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알면 반드시 도움 되는 ‘2022년 어르신 지원 정책’

  • 알면 반드시 도움이 되는 ’22년 어르신 지원 정책 하단내용 참조
  • 알면 반드시 도움이 되는 ’22년 어르신 지원 정책 하단내용 참조
  • 알면 반드시 도움이 되는 ’22년 어르신 지원 정책 하단내용 참조
  • 알면 반드시 도움이 되는 ’22년 어르신 지원 정책 하단내용 참조
  • 알면 반드시 도움이 되는 ’22년 어르신 지원 정책 하단내용 참조
  • 알면 반드시 도움이 되는 ’22년 어르신 지원 정책 하단내용 참조

어르신들께 꼭 필요한 정책, 도움 되는 정보 핵심만 쏙쏙 알려 드려요!

◆ 노후소득 보장 지원

· 기초연금
  - ’22년 기준 소득 하위 70% 노인 대상 월 최대 307,500원 지급
  - 신청 방법
      (방문 신청)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에서 신청 가능
      (온라인 신청) 복지로 복지서비스 신청에서 신청 가능

· 노인 일자리
  - ’22년 기준 84.5여만 개(공익활동형, 사회서비스형, 민간형) 일자리 제공
  - 신청 방법 : 수행기관별 참여자 모집 시 방문 신청 또는 노인일자리여기, 복지로를 통한 온라인 신청

◆ 노인장기요양보험

일상생활을 혼자 수행하기 어려운 어르신께 가정이나 입소 시설에서 신체 및 가사 활동 등 지원

· 대상 : 3가지 충족 신청 가능
  ① 65세 이상 또는 노인성 질병을 가진 65세 미만 
  ② 6개월 이상 스스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자
  ③ 장기 요양 등급자
      * 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 운영센터에서 등급 판정 신청

· 지원(급여) 종류
  - 재가급여 : 요양보호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신체 및 가사 활동 지원
  - 시설급여 : 요양 시설에 입소하여 신체활동, 심신 기능 유지 향상 지원
  - 특별현금급여 : 도서 벽지·지역 등 기관 이용이 어려울 시 15만 원 지급

· 신청 방법 : 인정 신청서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제출 신청

◆ 취약노인 돌봄

· 노인맞춤 돌봄 서비스
  - 방문 또는 그룹 프로그램 참여 등의 형태로 안전·안부 확인, 사회참여, 생활교육, 이동 및 가사 지원
  - 신청 방법
      ① 서비스 이용 자격이 있는 본인이나 대리인(배우자, 8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 그 밖의 이해관계인) 신청 가능
      ② 주민등록상 주소지의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 가능
      ③ 직접 방문이 불가할 경우, 전화, 우편 또는 팩스 신청 가능

· 독거노인·장애인 응급안전 안심서비스
  - 가정에 ICT 기기를 설치해 안부 확인, 응급 상황 시 119 연계, 노래·뇌 운동·스트레칭 영상 등 건강·정서 지원
  - 신청 방법 : 해당 읍·면·동 주민센터, 지역센터 및 수행기관 방문 신청

◆ 봉사 사회활동 지원

· 노인 자원봉사 : 지역사회에서 활동 중인 노인 자원봉사단 지원, 수요처 발굴

· 경로당 : 여가·건강 관리·교육 등 프로그램 보급 및 냉·난방비 등 지원

◆ 건강관리 지원

· 예방접종

  - 65세 이상 보건소, 병·의원에서 폐렴구균 및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연 1회)

· 치매관리
  - 치매안심센터에서 상담, 진단, 1:1 사례관리, 가족 지원
  - 60세 이상 저소득(기준 중위 소득 120% 이하) 치매 노인 대상으로 약제비(월 3만 원 한도) 지원
  - 신청 방법 :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치매안심센터 서비스 신청

· 틀니·임플란트 지원
  - 65세 이상 틀니·임플란트 비용 건강보험 적용, 본인 부담률 3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