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데이터 생태계 구축으로 AI가 일상화 되는 미래

2023.02.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쇄 목록

데이터 생태계 구축으로 AI가 일상화 되는 미래

  • 데이터 생태계 구축… 인공지능이 일상화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그리다 하단내용 참조
  • 데이터 생태계 구축… 인공지능이 일상화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그리다 하단내용 참조
  • 데이터 생태계 구축… 인공지능이 일상화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그리다 하단내용 참조
  • 데이터 생태계 구축… 인공지능이 일상화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그리다 하단내용 참조
  • 데이터 생태계 구축… 인공지능이 일상화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그리다 하단내용 참조
  • 데이터 생태계 구축… 인공지능이 일상화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그리다 하단내용 참조
  • 데이터 생태계 구축… 인공지능이 일상화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그리다 하단내용 참조

1월 26일 서울 소재 하이퍼커넥트*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2차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가 개최됐습니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해 9월 28일 발표된 국가 디지털 비전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의 데이터·AI 분야 후속계획인 「제1차 데이터산업 진흥 기본계획」과 「인공지능 일상화 및 산업 고도화 계획」안건이 중점 논의되고 심의·확정되었습니다.

* ‘하이퍼커넥트’란?
2021년 미국 매치그룹(소셜디스커버리앱 1위 ‘틴더’ 운영 기업)에 약 1.9조원에 인수된 글로벌 인공지능·영상기술 기업 ·국내·미국·일본·유럽 등에서 인공지능·데이터 처리 등 관련 약 280건의 글로벌 출원, 120건 글로벌 특허 보유

■ 안건 1

제1차 데이터산업 진흥 기본계획 ①

데이터 혁신 생태계를 조성할 3개년(’23~’25) 국가 청사진 제시
* 3년마다 데이터 생산·거래·활용을 촉진하고 데이터 산업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수립하는 법정계획

데이터는 디지털 시대의 원동력으로 우리나라는 그간 공공데이터 개방, 재정 투입을 통한 데이터 구축·바우처 지원 등 정부주도로 빠른 초기시장 형성에 힘써왔습니다.

정부는 정부주도를 뛰어넘어 민관 협력을 통한 전향적 데이터 공유·개방, 과감한 제도 혁신, 선제적 투자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세계 최고 데이터 강국 도약! 2027년 대한민국의 미래
· 데이터 시장 규모 - 50조원 성장 (’21)23조원, K-DATA
· 데이터 활용 역량 - 10위권 내 돌입 (’22)34위, IMD
· 기업 데이터 도입률 - 30%이상 달성 (’21)16%, K-DATA

제1차 데이터산업 진흥 기본계획 ②
▲ 중점 추진과제

1. 사회가 보유한 모든 데이터의 혁신적 생산·개방·공유
· AI학습용 데이터 전략적 구축(’23, 150종)
· 연구데이터 공유기반 마련 및 신산업 창출 데이터 전략적 생산·제공
· 고령화 등 미래이슈 데이터 수집 및 대응 시나리오 논의 체계도 마련

2. 민간 중심·민간 주도의 데이터 유통·거래 생태계 마련
· ‘One-윈도우’ 구축(’23, ISP), ‘국가 표준화 맵’ 마련 등
데이터를 편리하게 찾고 활용하는 국가 데이터 인프라 조성
· 50조원(~’27) 데이터 시장 성장을 이끌 민간 전문가·기업 본격 양성
- 데이터 거래·분석기업 3.5천개까지 확대 및 데이터 거래사 1천명 육성(~’25)

3. 안전과 혁신을 촉진하는 데이터 활용기반 조성
· 규제혁신으로 데이터 활용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
- 민관 합동 법제정비단 운영, 마이데이터 전송방식 표준화 확대(~’23, 10개 분야)
· 데이터에 대한 자유롭고 공정한 접근·이용 환경 보장

4. 데이터 산업 기초체력 강화로 국가 디지털 전환 전면화
· 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및 선도기술 확보
- 초중고 AI·데이터 교육 선도학교 증설(’22, 1,095교→ ’26, 1,820교)
- 데이터 과학 대학원 확대(현재 5개 → ’25, 10개)
- 산업 융합형 데이터 인재양성 MBA 신설(~’25, 5개)
- 데이터 패브릭 등 핵심·응용기술 확보(’23, 200억원)
· 바우처 지원방식 등 개편
-데이터 문제해결은행 도입, 지역 AI·데이터 혁신센터 구축(’24~)

■ 안건 2.
인공지능 일상화 및 산업 고도화 계획 ①
국민과 인공지능 혜택을 공유하고 AI 산업·기술 초격차 실현

과기정통부는 그간 축적한 산업기반을 토대로 인공지능을 국민생활 등 국가 전반으로 확산하고 AI산업의 실질적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인공지능 10대 핵심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 ’23년 약 7,129억 원 투입

인공지능 초일류 강국 도약! 2027년 대한민국의 미래
<3대 기술강국- AI 기술력> 89.1% → 95%
*미국 대비(IITP, ’22)
<AI 시장창출> 2.6조원 → 6.6조원
*인공지능 실태조사(’22)
<AI 일상화-기업 AI 도입율> 14.7%→50%
*KISDI(’21)
<AI 전문기업>339개 → 1,000개
*매출액 50억원/투자유치 20억원

인공지능 일상화 및 산업 고도화 계획②
인공지능 10대 핵심 프로젝트 주요내용

▲ 대형 수요 창출로 AI 산업성장 견인
1. 전국민 AI 일상화
- 독거노인 AI돌봄로봇 지원, 공공병원 의료 AI 적용 등
2. 공공·산업 AI 전면 융합
- 10대 분야 중심 AI 제품·서비스 개발·적용(’23, 150개 과제, 400억원)
3. AI 기업 스케일업
- 학습용데이터 구축·개방 (’23, 2,805억 원) 등
4. 인공지능 글로벌화
- 클라우드 기반 AI서비스 개발 등 우수 AI제품 해외진출 지원

▲ AI 기술·인프라 선도, 국가 AI역량 혁신
5. AI 기술 초격차
- 차세대AI 개발 (’22~’26, 2,655억 원), AI 반도체 초격차 기술 확보
6. AI 연구거점 조성
- AI 연구센터를 대학 내 구축(’24년 신규)
7. K-클라우드
- 국산 AI 반도체 기반 초고속·저전력 데이터센터 단계 구축 등

▲ 새로운 디지털 질서 모법모델 제시
8. 디지털 신질서 정립
- 「디지털 권리장전」 마련,「인공지능기본법」제정 지원
9. 법·제도·규제정비 2.0
- 법·제도·규제 정비 로드맵 수립
10. AI 신뢰성·윤리 선도
- 인공지능 영향평가 체계 마련 등

☞ 자세히보기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