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정부정책 모아보기 국민 건강과 안전, 반드시 지키겠습니다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정부정책 모아보기 국민 건강과 안전, 반드시 지키겠습니다

콘텐츠 영역

‘쉬는 청년’ 구직 돕는다…‘재학-재직-구직’ 단계별 맞춤형 지원

2023.11.17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인쇄 목록

‘쉬는 청년’ 구직 돕는다…‘재학-재직-구직’ 단계별 맞춤형 지원

  •  하단내용 참조
  •  하단내용 참조
  •  하단내용 참조
  •  하단내용 참조
  •  하단내용 참조
  •  하단내용 참조
  •  하단내용 참조

[비상경제장관회의,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 방안’ 발표 11.15.]

청년이 원하는 직장을 찾도록, 계속 일할 수 있도록, 포기하지 않도록 ‘재학-재직-구직’ 단계별 맞춤형 지원합니다.

ㆍ재학 단계
v 민간-공공 청년인턴 확대(’24. 7.4만 명)
v 대학 미진학 고교생 취업 지원 서비스 신설

ㆍ재직 단계
v 직장 적응 돕는 ‘온보딩 프로그램’ 신설
v 실근로시간 단축 지원사업 신설

ㆍ구직 단계
v 청년성장프로젝트 신설
v 청년도전지원사업 확대


10월 고용률은 역대 최고를, 실업률은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20대 후반 고용률도 역대 최고로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 청년은 원하는 일자리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대책을 준비했습니다.

■ 재학 단계

학교를 마치면 취직할 수 있도록
- 관심 분야를 미리 경험하는 청년인턴 확대( 4.8만 명 → 7.4만 명)
- 국가기술자격 응시료 50% 할인
- 기업이 원하는 인재 키우는 계약학과 부트캠프, 디지털트레이닝 강화
- 대학에 가지 않는 고등학생을 위한 맞춤형 취업 지원 서비스(20곳 신설)

■ 재직 단계

직장 생활을 잘 이어갈 수 있도록
- 신입 청년의 직장 적응을 돕는 온보딩 프로그램(’24년 신설)
- 유연근무 등 ‘일·생활 균형’ 확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 지원(50곳 → 850곳)
- 일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실근로시간 단축 지원 신설(1인당 30만 원)

■ 구직 단계

일자리를 찾는 도전을 멈추지 않도록
- 구직 단념을 예방하는 자조모임·심리상담 등 청년성장프로젝트(’24년 신설)
- 구직 자신감을 높이는 청년도전지원사업 확대(8천 명 → 9천 명)
- 공부·일을 하지 않는 ‘니트’ 청년을 위한 특화형 일경험 프로그램(’24년 운영)
- 청년 이직자 대상 경력재설계 서비스(’24년 도입)

■ 취약청년

가정환경 등이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 고립은둔청년
- 사회복귀 재적응 지원하는 사례별 맞춤형 프로그램(’24년 신설)
· 자립준비청년
- 자립수당 인상(월 40만 원 → 50만 원)
· 가족돌봄청년
- 연 200만 원 자기돌봄비(’24년 신설)
- ‘월 70만 원’ 일상돌봄 바우처 확대(51개 시·군·구 → 60개)

청년들이 미래를 꿈꾸며 마음껏 도전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습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히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