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베트남까지 '한국 참외' 선박 수출…동남아 진출 청신호

CA 기술 적용, 신선도 항공편과 비슷…비용 40~60% 절감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베트남에 처음 선박 수출한 한국 참외가 비행기로 하루 만에 온 참외와 품질 차이가 없어 현지로부터 합격점을 받았다.

농촌진흥청은 이달부터 동남아 지역을 대상으로 시에이(CA) 기술을 적용한 참외 선박 수출을 본격화한다고 20일 밝혔다.

참외 CA 수출 모델 적용 베트남 선박 수출 선적식 모습(사진=농촌진흥청 제공)
참외 CA 수출 모델 적용 베트남 선박 수출 선적식 모습(사진=농촌진흥청 제공)

CA(Controlled Atmosphere)는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해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는 기술로 선박 컨테이너에 적용하면 장거리 수출에 유리하다.

해마다 300톤 가량 해외로 나가는 우리나라 참외의 주요 수출국은 일본, 홍콩 등 가까운 일부 나라에 한정돼 있다.

농진청은 동남아시아에 참외를 대량 수출하기 위한 발판으로 베트남시장에 주목했다.

베트남은 올해 검역 요건이 최종 타결되면서 지난 3월 중순부터 4월 중순까지 항공편으로 우리 참외 30톤 물량을 처음 수출했다.

성주 참외 수출량의 절반 이상을 담당하는 월항농협은 지난해 농진청이 완성한 '참외 CA 수출 모형'을 적용해 지난 8일 참외 4톤을 베트남에 처음 수출했다.

이 모형은 참외 수출 공정에 저온 보관과 예비 냉장, 기능성 포장(MA) 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참외 손실률을 비행기와 비슷한 1% 이하로 유지하면서 비용은 40~60%가량 줄일 수 있었다.

참외를 10~15일까지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일본보다 5~7배 더 먼 베트남, 싱가포르 등 장거리 수출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성주 참외 수출 현장에서는 오는 7월까지 동남아 수출을 10회(40톤)로 늘려 전체 참외 수출의 13%가량에 CA 기술을 확대해 적용할 예정이다.

류상천 월항농협 상무는 "CA 기술이 본격화하면 항공편 의존도가 높은 참외 수출에 새로운 돌파구가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종국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저장유통과장은 "CA 기반 수출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자리 잡으면 우리 참외의 우수성을 더 많은 해외 소비자에게 알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수출시장을 다변화하고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품질 유지 기술 지원을 지속해서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문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저장유통과(063-238-6531)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