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수도권 '광역버스 좌석예약제' 8월부터 68개 노선으로 확대

수원·용인·성남·의정부·남양주·안양 등 예약률 상위 노선 중심으로
MiRi앱으로 미리 좌석 지정…예약 차량 실시간 위치 확인도 가능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수도권 출퇴근 시민이 더욱 편리하게 광역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다음 달 11일부터 좌석예약제를 확대한다고 28일 밝혔다.

광역버스 좌석 예약은 모바일 앱(MiRi앱)에서 시간과 정류소를 지정해 좌석을 예약하고, 정해진 시간에 정류소 대기 없이 바로 탑승할 수 있는 서비스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운영되며 지난 6월 기준으로 65개 노선 중 31개 노선에서 평균 예약률이 80% 이상을 기록 중이다.

광역버스 좌석예약 서비스 표지판.(ⓒ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광역버스 좌석예약 서비스 표지판.(ⓒ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대광위는 이 같은 예약 서비스를 더욱 많은 노선에서 다양한 시간대에 이용할 수 있도록 기존 65개 노선 하루 150회 운행에서 68개 노선 170회 운행으로 늘리고, 지역별로는 수원시 42회에서 48회, 용인 34회에서 41회, 성남시 9회에서 11회, 의정부시 2회에서 4회, 남양주시 12회에서 13회, 안양시 3회에서 4회로 확대한다.

특히, 기존 좌석예약제 노선 중 예약이 빨리 마감돼 예약이 다소 어려운 예약률 상위 노선을 골랐으며, 미운영 노선 중에서도 탑승객이 많은 혼잡 노선을 선별했다.

이번에 확대되는 노선은 기존의 일반 이용객들도 불편이 없도록 예약자가 우선 탑승한 뒤 비예약자는 잔여 좌석에 탑승하는 혼용제 방식으로 운영한다.

이어서, 편리한 좌석 예약 서비스를 위해 이용자 기능도 개선했다.

기존에는 예약 차량의 도착 예정시간만 표출돼 차량 위치는 별도 앱이나 정류장 모니터에서 확인해야 했으나, 앞으로는 예약자가 모바일 앱에서 예약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

수도권 광역버스 좌석예약제 모바일 앱 화면.(국토교통부 제공)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수도권 광역버스 좌석예약제 모바일 앱 화면.(국토교통부 제공)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또한, 비예약자가 탑승할 수 없는 경우에는 비예약자의 교통카드가 결제되지 않도록 단말기 기능을 개선했다.

기존 혼용제 운행방식은 예약자가 아직 탑승하지 않은 경우 일반 승객이 빈 좌석으로 오인해 교통카드로 결제할 수 있었으나, 이번 개선으로 이러한 혼선을 사전에 방지해 운전자가 불필요한 개입 없이 안전 운행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

김수상 대도시권광역교통본부장은 "광역버스 좌석예약제 확대로 대기시간을 줄이면서 혼잡한 출퇴근길의 피로를 덜어드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하고 "앞으로도 운영 상황, 이용자 만족도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해 개선이 필요한 사항은 즉시 조치하고 예약제 적용 노선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의: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광역버스과(044-201-5066)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