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17만 1000명 늘어남에 따라 7개월 연속 증가폭이 10만 명대를 웃돌았다. 또 경제활동참가율(65.0%)과 고용률(63.4%)은 7월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기획재정부는 13일 올해 7월 취업자 수는 2902만 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 1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 6월 11일 경기도 하남종합운동장 제2체육관에서 열린 2025 하남시 일자리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대를 살피고 있다.(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취업자수 증가폭은 소폭 축소됐으나 올해 1월 이후 7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를 이어갔으며, 1~7월 기준으로도 18만 명 증가하면서 연초 정부 취업자 수 전망(12만 명)을 넘어섰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4%로 전년대비 0.1%p 상승했고, 15~64세 고용률은 70.2%로 0.4%p 상승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65.0%로 0.1%p 상승했으며, 실업률은 2.4%로 0.1%p 하락했다.
연령별로는 30대(81.0%, +0.5%p)와 40대(80.0%, +0.8%p), 60세 이상(47.8%, +0.7%p)에서 고용률이 상승했고, 청년층(45.8%, -0.7%p)과 50대(77.6%, -0.2%p)에서 하락했다.
15세 이상 경활률·고용률 및 15~64세 고용률은 7월 기준 역대 1위를 기록했으며, 7월 경활률(64.7%)·고용률(62.7%)·15~64세 고용률(69.7%)도 같은 기간 기준 역대 1위다.
취업자 수를 업종별로 보면 서비스업이 보건복지·전문과학업을 중심으로 견조한 증가세를 보였으나, 숙박음식·개인서비스업 등은 어려움이 확대됐다.
제조업 및 건설업 고용 감소세가 지속됐으나 감소폭은 다소 축소됐고, 농림어업은 최근 집중호우 등 기상여건 악화 영향 등으로 4개월 연속 10만 명대 감소했다.
지위별로는 상용직과 임시직이 증가했으며 일용직은 감소했다.
청년은 취업자수 감소폭이 축소되고 쉬었음이 3달 잇달아 감소했다.
다만, 취업비중이 높은 숙박음식·제조업 고용 부진으로 청년층 고용률이 지속해서 하락하고 있어 청년층 고용여건 어려움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정부는 민간 일자리 창출여력을 강화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청년과 중고령층 등 취업 지원 강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성장전략 TF를 통해 기업활력 제고 및 신산업 육성방안을 마련하고 2차 추경 사업을 다음 달 말까지 85%까지 신속하게 집행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관세와 관련해 대미 세부협상과 관세 피해 지원 등 통상 리스크 대응에도 힘을 모을 계획이다.
이어서 최근 소비심리 개선세가 지속해서 확산될 수 있도록 부처별 소비진작 프로그램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건설 등 분야별 투자 지원방안도 발굴한다.
청년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구직활동 지원과 취업 유인을 추진하고, 중고령층의 경력·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재취업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다.
문의: 기획재정부 인력정책과(044-215-8532), 고용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044-202-7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