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이달 말까지 높은 기온 지속…질병청, 온열질환 주의 당부

올해 누적 온열질환자 3815명 발생…전년 대비 1.26배
33.3℃ 이상 구간서 1도 오를 때마다 51명씩 급격히 증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지난 21일 기준 온열질환자는 381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6배 많았으며, 폭염이 가장 심했던 2018년 다음으로 많았다.

또한, 일 최고기온 31.1℃~33.2℃ 구간에서는 1℃ 상승 때마다 온열질환자가 22명 증가하다가 33.3℃ 이상 구간에서 1℃ 상승마다 51명으로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온열질환자 수와 최고기온 간의 뚜렷한 상관관계를 확인했으며 이달 말까지 높은 기온이 이어져 온열질환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22일 밝혔다.

절기상 처서를 하루 앞두고 폭염이 찾아온 22일 바닥분수에서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2025.8.22.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절기상 처서를 하루 앞두고 폭염이 찾아온 22일 바닥분수에서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2025.8.22.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질병관리청은 2011년부터 해마다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국 500개 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폭염에 따른 온열질환 발생을 감시하고 주요 발생 특성 정보를 일별로 제공하고 있다.

올해는 지난 6월 말부터 무더위가 발생하면서 감시체계 운영 이래 가장 이른 시기에 온열질환자가 1000명을 넘었다.

지난 21일 기준 누적 온열질환자수는 3815명으로, 2011년 온열질환 응급실 모니터링 실시 이후 폭염이 가장 심했던 2018년도(4393명) 다음으로 많으며, 역대 2번째로 온열질환자가 많았던 지난해(3004명)보다 1.26배 많았다.

지난 11년(2015~2025년) 동안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자료와 일 최고기온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기온 상승에 따라 온열질환 발생이 구간별로 차이를 보였다.

기온이 1℃ 오를 때마다 온열질환자는 일 최고기온 27.7℃~31.0℃ 구간에서는 7.4명, 31.1℃~33.2℃ 구간에서는 22명 증가했다.

특히 일 최고기온 33.3℃ 이상 구간에서는 기온이 1℃ 오를 때마다 온열질환자가 51명 발생하는 등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

분절형 회귀분석을 이용한 기온별 온열질환자 발생 현황.(질병관리청 제공)
분절형 회귀분석을 이용한 기온별 온열질환자 발생 현황.(질병관리청 제공)

이처럼 기온이 높아질수록 온열질환자 수가 지수적으로 증가하고 일 최고기온 33.3℃ 이상에서는 온열질환자 발생이 급증해 높은 기온이 예보될 경우 반드시 온열질환 예방 건강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온열질환은 열로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고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 때 두통, 어지럼증,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더운 환경에서 두통, 어지럼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빨리 물을 마시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해 휴식해야 한다.

증상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119 구급대 등의 도움을 받아 병원에 방문해 조치해야 한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기온 자료를 활용해 폭염 대비 건강피해를 막기 위한 선제적 대비를 하겠다"면서 "기상청에서 8월 말 낮 기온을 30~34℃로 전망하고 있어 지속적인 온열질환 예방 건강수칙 준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폭염 대비 온열질환 예방 건강수칙 포스터 (질병관리청 제공)

폭염 대비 온열질환 예방 건강수칙 포스터 (질병관리청 제공)

문의: 질병관리청 건강위해대응관 기후보건건강위해대비과(043-219-2951), 질병데이터과학분석관 질병관리연구기획담당(043-719-7748)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