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APEC 에너지장관회의 '공동선언문' 채택…'전력망 안정' 공감대

올해 에너지장관회의 중 공동선언문 첫 타결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정책 국제사회에 알려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부산에서 개최된 제15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에너지장관회의가 28일 공동선언문을 채택하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5일부터 29일까지 부산 벡스코와 APEC누리마루하우스 등 일대에서 세계 에너지 리더들을 한자리에 초청해 '에너지 슈퍼위크'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에너지 슈퍼위크는 APEC 에너지장관회의,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 : Clean Energy Ministerial), 미션이노베이션(MI) 장관회의 등 3개 에너지장관회의와 국제기후산업박람회를 한 주에 함께 여는 세계적으로 전례 없는 형식의 빅 이벤트다.

'APEC 에너지장관회의' 모습.(ⓒ뉴스1, 산업부 제공,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APEC 에너지장관회의' 모습.(ⓒ뉴스1, 산업부 제공,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번 에너지 슈퍼위크 기간에 열린 APEC 에너지장관회의에서 채택된 공동선언문은 올해 개최하는 G20, G7 등 에너지장관회의 중 처음이다.

공동선언문은 모든 APEC 경제체의 만장일치로 타결되는 만큼 한국이 제안한 핵심 의제인 전력망 및 에너지 안보와 안정적인 전력 공급 확대, AI 기반 에너지혁신에 대해 글로벌 공감대를 이끌어 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의제를 바탕으로 에너지고속도로, 차세대전력망(마이크로그리드) 등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방향을 APEC 역내에 널리 알렸다.

이어서, 에너지 슈퍼위크로 한국의 에너지 글로벌 리더십을 국제사회에 발휘했다.

에너지 슈퍼위크 중 첫 스타트를 끊은 청정에너지 장관회의와 미션이노베이션 에너지장관회의는 41개 정부대표단, 111개 국제단체, 105개 글로벌 기업 등 1000여명이 대거 참여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청정전력으로의 전환, 산업탈탄소화, 미래 연료, 에너지와 AI 등 핵심의제를 논의했다.

이러한 논의는 오는 10월 개최하는 G20 에너지 장관회의와 11월 개최하는 COP30(기후당사국총회)에서도 핵심 의제로 다뤄져 한국이 글로벌 기후에너지 의제를 심화하는 데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후박람회와 에너지장관회의 연계 개최라는 새로운 모델을 국제사회에 제시해 세계 에너지 정부 고위인사, 전문가, 기업이 대거 참여하는 최고의 국제행사로 발돋움했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기후산업국제박람회의는 첫날 방문 인원이 1만 6587명으로 지난해보다 15% 늘었고, 12개 국제콘퍼런스, 60여개 부대행사를 함께 개최해 성황리에 마쳤다.

에너지 슈퍼위크를 계기로 방한한 파티뷔롤 IEA(에너지국제기구) 사무총장은 "에어컨 및 전기차, AI 데이터 센터의 보급 확대 등으로 전력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나, 급증하는 전력 공급을 수용할 수 있는 전력망 건설은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고 지적하면서 "한국의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 추진을 매우 높게 평가한다"고 강조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에너지 슈퍼위크는 한국이 리더십을 발휘해 국제사회에서 에너지 분야 핵심의제를 이끌어 내고 공감대 형성을 주도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가 있다"고 강조하면서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차세대 전력망 구축 등 새 정부 에너지 정책방향을 더욱 발전시켜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관 에너지정책과 APEC및청정에너지장관회의TF팀(044-203-5131, 5706), 에너지기술과(044-203-5153), 기후산업국제박람회TF팀(044-203-5171)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