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구 부총리 "공급망 안정·수출시장 다변화 위해 아세안과 협력 강화"

부총리 주재 대외경제장관회의 개최…'미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 곧 발표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정부가 조만간 미 관세 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마련해 우리 기업의 관세 대응을 적극 지원하는 한편, 새 정부의 신대외경제전략도 구체화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2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어 한미 정상회담 경제성과 후속조치 추진계획과 한일 정상회담 경제성과 후속조치 추진계획, 시장 다변화를 위한 아세안 통상협정 추진현황 및 계획을 논의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 두번째)이 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 두번째)이 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구 부총리는 "지난주 개최한 한미 정상회담이 한미 양국 간 경제·안보·첨단기술이 결합한 '미래형 동맹' 관계로 발전하기 위한 전기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조선·원자력, 항공, LNG, 핵심 광물 등에서 2건의 계약과 9건의 MOU 체결 등으로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 교두보를 마련했다"고 평가하며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 금융 패키지는 지난 7월 30일 큰 틀에서의 합의를 재확인한 의미가 있으며 세부 실행 방안 마련을 위한 양국 협의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양국 경제 현안과 관련된 실질적인 논의들을 진전시킨 계기가 되었다"며 경제안보 소통 강화, 수소·AI 등 미래산업 협력,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 출범 등을 주요 성과로 꼽았다.

구 부총리는 또한, "우리 공급망을 안정시키고 수출 시장 다변화를 위해서는 글로벌 3위 시장 규모인 아세안과의 네트워크 고도화가 필수적이다"라고 강조하면서, 이를 위해 말레이시아·태국·싱가포르 등 아세안 주요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 조만간 '미 관세 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해 우리 기업의 관세 대응을 적극 지원하고 산업 경쟁력 강화를 꾀하고 새로운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해 새 정부의 신대외경제전략을 조만간 구체화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 <총괄>기획재정부 대외경제총괄과(044-203-565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