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정부, 2030년까지 'K-푸드 150억 달러 수출 목표' 지원 강화

김 총리, 경남 밀양 삼양식품 공장서 '제5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주재
중소 제조기업의 경쟁력 확보 위한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 논의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김민석 국무총리는 24일 "오는 2030년까지 'K 푸드' 수출 15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민관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국무조정실은 24일 김민석 국무총리가 경남 밀양시 삼양식품 공장을 찾아 제5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해 업계 관계자 등 민간 참석자와 함께 글로벌 K-푸드 수출 전략과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을 논의·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다음 주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세계 무대를 향한 우리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과 미래 전략에 대해 민·관이 함께 모여 논의하기 위해 최일선 생산 현장에서 개최했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24일 오후 경남 밀양 부북면 삼양식품 밀양공장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10.24.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김민석 국무총리가 24일 오후 경남 밀양 부북면 삼양식품 밀양공장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10.24.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김 총리는 회의에 앞서 고도화된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한 삼양식품의 지능형·친환경 생산현장을 찾아 세계에 한국인의 맛을 알리고 있는 수출 제품의 공정 과정을 살펴봤다.

특히, 완전 무인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한 물류창고와 전체 데이터를 관리하는 중앙통제실을 참관하는 등 스마트 제조 기술의 효율성을 확인하기도 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K-컬처 열풍과 함께 세계 식품 트렌드로 자리 잡은 K-푸드의 인기와 수요를 지속하기 위한 글로벌 K-푸드 수출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우선, 2030년까지 150억 달러 수출 달성을 목표로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뒷받침하는 '글로벌 NEXT K-푸드 프로젝트'를 가동하기로 했다.

유망 K-푸드를 선정하고 지역별 확산 전략을 수립해 일부 품목에 수출이 집중된 현상을 해소하고 K-푸드의 저변을 넓힐 계획이다.

또한, 해외 인증과 마케팅 지원으로 신시장 개척을 지원하고, 물류 인프라 확충과 지식재산권 보호를 뒷받침하는 한편, 원스톱 기업 지원 체계를 구축해 기업이 수출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아울러, 콘텐츠·관광 등 다른 K-컬처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푸드테크 혁신도 함께 추진해 K-푸드의 성장이 문화산업은 물론 농업·수산업·제조업 등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끌 촉매가 되도록 뒷받침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AI 대전환 시대에 우리 경제의 뿌리이자 성장 근간인 제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도 발표했다.

정부는 업계 전반에 걸친 AI 대전환을 추진해 2030년까지 중소 제조기업의 AI 도입률을 10%까지 끌어올리고 산재는 20% 감축하는 효율적·환경친화적·노동친화적 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이어서 AI 도입에 대한 전 주기 수준별·지역별 맞춤 지원으로 선도 모델을 육성하는 한편, 대·중소기업 간의 상생형 스마트공장을 고도화하고 K-푸드와 같은 유망 업종에 대한 특화된 AI 도입도 지원한다.

아울러 스마트제조 기술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창업부터 해외 진출까지 단계별 육성 체계도 마련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게 지원해 중소 제조기업이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24일 오후 경남 밀양 부북면 삼양식품 밀양공장을 방문해 불닭볶음면을 시식한 후 땀을 닦고 있다. 2025.10.24.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김민석 국무총리가 24일 오후 경남 밀양 부북면 삼양식품 밀양공장을 방문해 불닭볶음면을 시식한 후 땀을 닦고 있다. 2025.10.24.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김 총리는 "K-푸드의 글로벌 도약과 스마트 제조혁신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조해 달라"고 당부하며 "업계의 목소리가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총괄>국무조정실 기획총괄정책관실(044-200-2535), 푸드>국무조정실 농림국토해양정책관실(044-200-2232), 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수출진흥과(044-201-2172), <스마트제조>국무조정실 산업과학중기정책관실(044-200-2223), 중소벤처기업부 제조혁신과(044-204-7261)

하단 배너 영역

/
2025 경주 APEC 정책포커스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