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 :
국민소통실
촬영일 : 2019.03.22
촬영장소 : 기타 > 중국 기강
-
기강은 중일전쟁 당시 수도였던 중경시의 시할구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마지막 청사인 중경에 가기 전, 1939년 5월부터 1940년 9월까지 머물렀던 곳이다. 당시의 청사는 허물고 남아있지 않지만, 기강박물관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와 요인들의 사진을 볼 수 있다.
-
기강은 중일전쟁 당시 수도였던 중경시의 시할구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마지막 청사인 중경에 가기 전, 1939년 5월부터 1940년 9월까지 머물렀던 곳이다. 당시의 청사는 허물고 남아있지 않지만, 기강박물관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와 요인들의 사진을 볼 수 있다.
-
기강은 중일전쟁 당시 수도였던 중경시의 시할구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마지막 청사인 중경에 가기 전, 1939년 5월부터 1940년 9월까지 머물렀던 곳이다. 당시의 청사는 허물고 남아있지 않지만, 기강박물관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와 요인들의 사진을 볼 수 있다.
-
기강은 중일전쟁 당시 수도였던 중경시의 시할구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마지막 청사인 중경에 가기 전, 1939년 5월부터 1940년 9월까지 머물렀던 곳이다. 당시의 청사는 허물고 남아있지 않지만, 기강박물관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와 요인들의 사진을 볼 수 있다.
-
기강은 중일전쟁 당시 수도였던 중경시의 시할구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마지막 청사인 중경에 가기 전, 1939년 5월부터 1940년 9월까지 머물렀던 곳이다. 당시의 청사는 허물고 남아있지 않지만, 기강박물관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와 요인들의 사진을 볼 수 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기강에 머물던 시기에 이동녕 선생이 거주했던 곳이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기강에 머물던 시기에 이동녕 선생이 거주했던 곳이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기강에 머물던 시기에 이동녕 선생이 거주했던 곳이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기강에 머물던 시기에 이동녕 선생이 거주했던 곳이다.
-
토교 한인촌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이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곳이다. 1940년 8월 기강에서 중경으로 옮겨온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과 그 가족들은 토교 동감 폭포 위에 큰 기와집 3채를 짓고 살았으며, 길가의 2층 기와집을 사서 100여 명이 거주했다.
-
토교 한인촌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이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곳이다. 1940년 8월 기강에서 중경으로 옮겨온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과 그 가족들은 토교 동감 폭포 위에 큰 기와집 3채를 짓고 살았으며, 길가의 2층 기와집을 사서 100여 명이 거주했다.
-
토교 한인촌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이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곳이다. 1940년 8월 기강에서 중경으로 옮겨온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과 그 가족들은 토교 동감 폭포 위에 큰 기와집 3채를 짓고 살았으며, 길가의 2층 기와집을 사서 100여 명이 거주했다.
-
토교 한인촌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이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곳이다. 1940년 8월 기강에서 중경으로 옮겨온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과 그 가족들은 토교 동감 폭포 위에 큰 기와집 3채를 짓고 살았으며, 길가의 2층 기와집을 사서 100여 명이 거주했다.
-
토교 한인촌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이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곳이다. 1940년 8월 기강에서 중경으로 옮겨온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과 그 가족들은 토교 동감 폭포 위에 큰 기와집 3채를 짓고 살았으며, 길가의 2층 기와집을 사서 100여 명이 거주했다.
-
토교 한인촌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이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곳이다. 1940년 8월 기강에서 중경으로 옮겨온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과 그 가족들은 토교 동감 폭포 위에 큰 기와집 3채를 짓고 살았으며, 길가의 2층 기와집을 사서 100여 명이 거주했다.
문화체육관광부 ·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