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특허청, ’13년 정부 R&D 특허성과 조사·분석 결과 발표

2015.02.25 특허청
인쇄 목록
특허청, ’13년 정부 R&D 특허성과 조사·분석 결과 발표
- 양적으로 세계 최고 수준이나, 해외권리화․질적수준․특허활용은 미흡 -

최근 5년간(‘09~’13년) 정부 R&D로 창출된 특허성과를 조사·분석한 결과, 정부 R&D 사업으로 창출된 특허출원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며 양적인 면에서는 괄목할 성과를 거두었으나, 해외권리 확보, 질적 수준, 특허활용 등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청장 김영민)은 ’13년 정부 R&D로 창출된 특허성과의 관리 및 활용실태를 조사․분석(분석기관 : 한국지식재산전략원)하여,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정부 R&D를 통해 ’13년 창출된 국내 특허출원은 총 23,766건으로 최근 5년 연평균 12.4%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R&D의 양적 효율성을 나타내는 특허생산성(R&D 10억원당 특허출원 수)은 1.41로 미국 및 일본을 압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 정부 R&D 1.41, 미국 공공연 0.21, 미국 대학 0.26, 일본 대학 0.34

하지만, 국내 특허출원에 집중되어 해외시장 진출 등에 꼭 필요한 삼극특허 비율* 및 패밀리특허 수**는 미국, 일본, 독일 등 주요국의 44%~71% 수준에 불과하여 해외 권리화를 위한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 국내출원 외에 시장영향력이 가장 큰 미국(USPTO), 유럽(EPO), 일본(JPO)까지 출원한 비율
** 우선권 주장을 통해 해외출원을 진행한 경우 평균 진출한 국가 수

한편, 특허의 질적 수준과 활용 측면에서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먼저, 정부 R&D 특허성과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우수특허 비율(14.0%)*은 민간 R&D(15.5%)와 유사한 수준이나, 외국인(42.5%)의 약 1/3 수준에 불과하고, 정부 R&D 미국 특허성과의 우수특허 비율도 미국 등록특허에 크게 미달**하였다.

* PQI(Patent Quality index, OECD 제시) 상위 3등급(23%) 이내 특허의 비율
** 미국 등록특허 우수특허 비율 : 한국 정부 R&D 10.4%, 미국 등록특허 평균 25.6%

또한, 정부 R&D 특허성과의 활용 측면에서 최근 5년간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의 특허이전은 지속적으로 확대되었으나, 전반적으로 활용률이 저조하고, 특히 공공연구기관에 비해 대학의 특허 활용도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최근 정부 R&D에서 중소기업 지원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중소기업의 특허성과는 증가하였으나, 특허출원의 결함으로 거절결정되는 비율은 가장 높아 중소기업의 강한 특허 창출을 위한 추가 지원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거절결정률) 대학 15.5%, 공공연, 11.6%, 대기업 16.8%, 중소기업 20.8%
** (기재불비 거절결정) 대학 31.3%, 공공연 20.3%, 대기업 22.8%, 중소기업 30.5%

특허청은 이번 국가 R&D 특허성과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여러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특허정보를 활용한 정부 R&D 全 주기 지원을 통한 정부 R&D 특허의 질적 수준 제고, 대학․공공연의 특허활용 확대, 해외권리화 지원 및 중소․중견기업의 강한특허 창출 지원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특허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특허관점의 미래 유망기술을 제시*하여 과제발굴 단계부터 핵심․원천특허를 확보할 수 있는 기술에 집중 투자되도록 유도하고, 중소․중견기업이 우수특허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식재산권 기반의 연구개발(IP-R&D) 전략 수립 지원**도 확대한다.

* 국가 특허전략 청사진 구축(누적) : (’14년) 12대 산업분야 → (’15년) 18대 전 산업분야 완성
** 중소․중견기업 특허전략 수립 지원 : (’14년) 177개社 → (’15년) 180개社

또한, 대학․공공연이 창출한 특허의 사업화․기술이전을 위해 발명인터뷰, 특허포트폴리오 구축 등을 통해 우수특허의 활용 지원을 강화하고, 국제특허출원 지원, IP-DESK 추가 개소 등을 통해 해외권리화 지원도 확대할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정부 R&D 부처가 특허성과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방형 특허정보 유통체계(Open-API*)도 구축하여 2월말부터 본격 서비스를 개시한다. 이 서비스는 정부 R&D 특허정보(KIPRIS Plus)와 과제정보(NTIS)를 연계하여 양적․질적 수준과 관련된 다양한 특허성과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데, 향후 관련 부처․기관과 협력하여 맞춤형 특허성과 제공 서비스로 확대할 계획이다.

*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을 쉽고 용이하게 개발·활용할 수 있도록 외부에 개방된 API

김영민 특허청장은 “정부 R&D의 특허생산성 등 양적 수준은 이미 선진국 수준을 넘어섰고, 이제는 질적 수준 제고 및 특허활용 확대가 중요한 과제다”라며, “미래부 등 관계부처와 적극 협력하여 정부 R&D 全 주기에서 특허정보를 활용하여 고품질 특허를 창출하고 사업화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관련된 지원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 보도자료 1부.
문의 : 산업재산정책국 산업재산창출전략팀 복상문 사무관 (042-481-5931)

“이 자료는 특허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