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 제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주재 - 정총리, “인공지능반도체 없는 기기는 팔리지 않는 시대 올 것, 구글· 엔비디아와 당당히 경쟁하는 초일류 기업을 키워낸다는 자신감으로 미래에 도전” - - “역대 최고 수준 R&D 예산(24조원), 연구성과가 시장에서 열매맺고 국민이 체감토록 성과발굴부터 후속지원까지 범부처 역량을 집중할 것” - |
◈ 인공지능 반도체, 인공지능 강국·종합반도체 강국 실현을 위한 새로운 도전 - 혁신적 NPU, 신개념 PIM 반도체 독자 개발로 “No1. 기술리더십” 확보 - 국가 인공지능·데이터 댐 인프라에 국산 인공지능 반도체 시범도입·실증 - ’30년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고급인재 3,000명 양성 - 1社 1Chip 프로젝트, 공공수요 확보를 위한 마중물 투자로 초기시장 창출 - 기업간 연대·협력으로 선도적인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 역량 확보 - ’30년 혁신기업 20개社 육성 지원을 위한 ‘혁신설계센터’ 신규 구축 ◈ R&D 성과, 사업화의 성공모델을 만들기 위한 범부처 이어달리기 추진 - 가시적인 성과창출이 예상되는 잠재력 높은 R&D 성과 발굴 - ‘후속R&D-사업화지원-규제개선’까지 범부처 지원역량을 총 결집 - ’20년 12월까지, R&D 우수성과 선정 및 성과 이어달리기 시범 추진 |
ㅇ 회의에 앞서 정세균 국무총리는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 內 창업공간을 방문하여 운영현황을 보고받고, 인공지능 반도체 기업의 제품 시연을 참관하였습니다.
* 팹리스의 창업부터 성장까지 전주기 지원플랫폼으로 사무공간, 시제품 제작, 맞춤형 컨설팅 제공
ㅇ 이어서, 이날 논의된 ‘R&D 성과 이어달리기’와 관련하여 태양전지, 의료 소프트웨어, 신약 등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R&D 우수성과에 대한 설명을 듣고, 후속지원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 이번 회의에서는 (1호)「인공지능 강국 실현을 위한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 (2호)「R&D 우수성과 범부처 이어달리기 추진방안」을 토론안건으로 원안 의결하고, (3호)「공공연구기관 R&D 혁신방안 중 국립연구기관 후속조치」를 보고안건으로 원안 접수하였습니다.
ㅇ 안건별 토론에서는 메모리 반도체 이후 우리의 새로운 도전이자, 미래 먹거리가 될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의 혁신적 기술·인재 확보와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ㅇ 또한 R&D 성과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성과발굴부터 후속지원까지 범부처 지원역량을 결집하는 R&D 성과 이어달리기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