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윤석열정부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참고자료)산업부, 철강·알루미늄 업계와 민관 합동 대책회의 개최

(참고자료)산업부, 철강·알루미늄 업계와 민관 합동 대책회의 개최

2021.11.01 산업통상자원부
인쇄 목록
산업부, 철강·알루미늄 업계와 민관 합동 대책회의 개최
미(美)-유럽연합(EU)232 조치 완화 합의안 발표에 따른
우리 수출영향 및 대응방안 점검 -
 
미(美) 바이든 대통령과 유럽연합(이하 EU)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G20 정상회의 계기 이탈리아 현지시간 10.31() 무역확장법 제232조에 따른 철강·알루미늄 수입관세EU측 보복관세 완화 관련 합의안을 발표한 바 있다.
 
 
< 발표 주요내용 >
 
 
 
-EU 상호간 철강·알루미늄 232조 관세 및 보복관세 철폐
- (미) 철강 25% 및 알루미늄 10% 수입관세를 EU에 대해 철폐하고, 과거 수입물량에 기초하여(historical-d volume) 무관세 물량 부여
- (EU) 232조 조치 대응 보복관세 철폐
    
232조 관련 진행 중인 세계무역기구(WTO) 분쟁 종료
 
2024년을 목표로 철강 공급과잉 해소 및 탈탄소화를 위한 글로벌 협정 체결 협의 개시
- 철강, 알루미늄 교역재에 내재된 탄소량(ded carbon) 측정방법 개발 및 데이터 공유를 위한 기술작업반 설치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11.1() 16:30 산업정책실장 주재철강·알루미늄 업계와 민관 합동 긴급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우리 수출영향 및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한다.
 
 
< 철강·알루미늄 업계 긴급 점검회의 개요 >
 
 
 
 
일시 / 장소 : 11.1() 16:30 18:00 / 무역협회
 
참석자
- (정부) 산업정책실장, 통상법무정책관, 철강세라믹과장
 
- (업계) 한국철강협회, 주요 대미 수출 철강사 11개사(社)*, 한국비철금속협회
*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KG동부제철, 세아제강, 고려제강, 휴스틸,
일진제강, 넥스틸, 하이스틸, 세아홀딩스(세아베스틸·세아창원특수강)
 
 
회의를 주재한 주영준 산업정책실장은 금번 미-EU합의에 따라 EU산 철강의 대미(對美) 수출이 증가할 경우 우리 수출에 대한 일정부분 영향이 불가피한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할 계획임을 강조하였다.
 
특히, 한국은 미국에 고품질 제품을 공급하는 공급망 협력국이자 - 자유무역협정(FTA) 등으로 맺어진 긴밀한 경제·안보 핵심 동맹국인 만큼, 미국 정부와 가급적 조속한 시일 내에 국내산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32조치 재검토 및 개선 협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동 회의를 통해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부와 업계는 향후 예상되는 수출환경 변화에 대해 민관 합동으로 다음과 같이 감독을 강화하고 대응방안을 강구해 나가기로 하였다.
 
< 대응 계획 >
 
업부는 한국산 철강재 등에 대한 232조 조치 완화를 위해 미국 측과 관련 협의 개시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는 산업부 담당 국장급을 워싱턴 디시에 파견하여 미 무역대표부, 상무부 면담을 추진할 예정이며, 금년 중 한-미간 고위급 협의 계기를 활용하여 232조 재검토 및 개선을 지속 요청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향후 한국 입장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지속적으로 전달 수 있도록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한편, 정부는 한국 철강에 대한 기타 국가의 긴급수입제한조치(세이프가드) 등 수입규제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갈 계획이다.
 
우리 업계 또한 현지 수요기업, 투자기업 등과 함께 적극적 지원활동(아웃리치) 진행, 한국산 철강재에 대해서도 232 조치 완화 및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할 예정이다.
 
특히, 미국내 철강재 공급 부족 및 가격 급등 상황 고려시, 한국에 대한 수입규제 완화가 미국의 경기회복 및 고용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적극 강조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EU간 글로벌 협정 협의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며, 앞으로 예상되는 수출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민·관 합동으로 탈탄소화·고부가가치화 등 우리 철강산업의 체질 개선을 가속화하고, 확산되는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