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출생년도 홀짝부부, 함께 건강검진 받다~

2021.02.19 정책기자 이주영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올해 2021년은 홀수년도 출생자가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 해이지만, 지난해 코로나19 여파로 검사를 받지 못한 짝수년도 출생자도 올 6월까지 무료 건강검진이 가능합니다. 지난해 코로나19로 병원 가길 꺼리다 보니 검진자가 43%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출생년도가 짝홀수인 우리 부부는 늘 따로 건강검진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올해는 작년 미검사자도 같이 검사받을 수 있게 되어 처음으로 남편과 함께 병원으로 향했습니다.

건강검진 추가 신청은 의료보험 직장인 가입자의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보내주는 서류를 작성해 보내면 된다.
건강검진 추가 신청은 의료보험 직장인 가입자의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보내주는 서류를 작성해 보내면 된다.


작년도 미검사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전화(1577-1000)로 신청하면 암검진은 쉽게 가능합니다. 일반 건강검진을 받기 위해서는 추가 신청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건강검진센터에 전화를 하면 신청서를 팩스로 받을 수 있습니다. 직장인 의료보험 가입자는 회사에서 서류를 작성해 보내면 절차가 2~3일 걸린다고 합니다. 

건강검진이나 입원환자의 경우 보호자1인까지 방문가능하며, 열체크 후 스티커를 붙여주었다.
건강검진이나 입원 환자의 경우 보호자 1인까지 병원 방문이 가능하다. 발열체크 후 스티커를 붙여주었다.


올해는 대장암 검진을 받기 위해 미리 병원에 방문해 의사와 상담 후 진료 예약 날짜를 잡았습니다. 이 병원에서는 입구에서 발열체크와 방문 기록을 마치면 스티커를 부착해 주었습니다. 보호자는 1명 동반 가능합니다. 우리 부부는 서로의 보호자가 될 것입니다. 

제일 빠른 예약을 잡았는데도 3주 후 월요일로 예약되었습니다. 검사 전 유의사항과 약 복용 방법 안내를 받고 약을 받아왔습니다. 

만 50세 이상 대장암 검사 무료라고 해서 내시경까지 신청하였다. 수면내시경은 추가비용이 발생한다.
만 50세 이상은 대장암 검사 무료라고 해서 내시경까지 신청하였다. 수면내시경은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저도 올해 50세 이상 무료 대장암 검진 대상자가 되었습니다. 무료 대장암 검진 대상자면 대장내시경이 무료인 줄 알았는데, 채변을 한 후 이상이 있을 때만 대장내시경이 무료라고 합니다. 이상이 없을 때에는 내시경 검사비가 추가됩니다. 그러므로 채변통도 꼭 받아오셔야 합니다.

대장내시경을 하려면 하루 전부터 약을 복용하고, 금식한 후 검사한다.
대장내시경을 하려면 하루 전부터 약을 복용하고, 금식한 후 검사한다.


건강검진 전 병원에서 안내 문자를 보냈습니다. 설명을 들은 지가 오래 되어 다시 안내문을 펼쳐 그대로 약을 복용해 봅니다. 대장내시경 검사 전 약 먹는 것도 일이네요. 뿐만 아니라 딱딱한 씨앗이 든 음식, 착색이 되는 음식과 과일도 대부분 금지입니다. 

출생년도 짝홀수 부부가 올해는 같이 검진받을 수 있었고, 미뤄오던 건강검진도 챙길 수 있었다.
출생년도 짝홀수 부부가 올해는 같이 검진을 받을 수 있었고, 미뤄오던 건강검진도 챙길 수 있었다.

  

같은 날 건강검진을 받으니 서로의 모르던 점도 알게 되었습니다. 남편은 건강검진을 한 해 빼먹어서 5년만의 검사네요. 그나마 올해 검사를 받을 수 있어 다행이었습니다. 저는 잔병치레로 병원을 자주 다녀 오히려 큰 걱정은 하지 않았습니다. 대장내시경은 출산 전인 19년 전에 한 번 받고 오랜만에 하는 검사였습니다.

건강검진 순서와 유의사항이 적힌 벽보.
건강검진 순서와 유의사항이 적힌 벽보. 한 곳에서 여러 검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병원이 편리했다.

 

여성병원이라 한 곳에서 모든 검사를 받으니 편리했습니다. 내시경 검사 결과는 그 자리에서 들을 수 있었습니다. 이상이 없다고 하니 어제의 고통스런 약물 복용도 보상을 받는 듯했습니다. 나머지 검사 결과는 우편으로 보내준다고 합니다.

작년 건강검진 미검사자도 2021년 6월까지 꼭 받도록 한다.
작년 건강검진 미검사자도 2021년 6월까지 꼭 건강검진을 받도록 하자.


건강검진이 귀찮고 병원 가는 시간을 내는 일도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2020년에 검사를 받지 못한 짝수년도 출생자는 올해 6월까지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꼭 챙기세요. 6월에 검사자가 몰리는 걸 감안하면 미리미리 검사를 받는 게 좋겠습니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이주영 aesop711@hanmail.net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