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노인 일자리로 몸과 마음의 건강 지키는 어르신들

2021.08.31 정책기자단 김명진
인쇄 목록

마흔을 넘어서니 이제 더 이상 나이를 먹는 게 반갑지 않다. ‘50대에는 시속 50km, 60대엔 시속 60km로 시간이 빨리 간다’는 말이 체감되기까지 한다. 그런데 우리는 왜 이렇게 나이 듦에 공포를 느끼는 것일까? 그건 아마도 내 몸 어딘가 고장이 나서 혹여나 내 자식에게 폐를 끼칠지 모른다는 걱정, 그리고 더 이상 나를 필요로 하는 곳이 없을 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일 것이다. 

한 초등학교 앞에서 교통 봉사를 하시는 어르신
한 초등학교 앞에서 교통 봉사를 하는 어르신.


그런데 요즘 우리 사회 곳곳에서 일하는 어르신들을 만날 수 있다. 공원에서 운동기구를 소독하거나 청소하고, 도서관에서 책을 정리하고, 우체국에서 체온 체크 등을 안내하고, 학교 앞에서 교통 정리를 하는 등 수많은 곳에서 그야말로 열심히 일하고 계시는 이른바 공공근로 어르신들이다. 

60대 중반인 어머니도 올해부터 지역구청이나 교육청을 통해 일자리를 찾으셨다. 긴 육아 도우미를 끝내고 처음 하셨던 일은 코로나19 자가격리자들에게 위치 추적이 가능한 휴대전화를 전달하고 수거하는 일이었다. 그리고 지금은 한 학교에서 방역 도우미로 일하고 계신다. 하루에 세 시간 가량 일하고 받는 금액은 한 달에 60만 원이 채 안 되지만 엄마는 뿌듯하고 즐거워하신다. 

엄마의 지인들도 대부분 공공근로에 참여하고 계신다. 초등학교 앞에서 교통 봉사를 하시는 분, 장애인 학교 스쿨버스에서 등·하원 도우미로 일하시는 분, 바리스타 자격증을 취득해 실버카페에서 일하시는 분 등… 가끔 이런 노인 일자리를 두고 비판도 있지만 나는 이렇게라도 어르신들에게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에 긍정적인 부분이 더 크다고 생각한다. 내 자식에게 손 벌리지 않고 내 힘으로 일해서 돈을 번다는 것 그 자체에 어르신들은 굉장한 기쁨을 느끼신다.         

노인가구의 소득원별 구성 및 평균금액(출처=보건복지부 2020 노인실태조사)
노인가구의 소득원별 구성 및 평균금액.(출처=보건복지부 2020 노인실태조사)


실제로 2020년 3월부터 11월까지 9개월에 걸쳐 65세 이상 노인 약 1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인실태조사 결과, 노인의 개인소득은 2008년 700만 원, 2020년 1558만 원으로 계속적으로 증가했고 경제활동 참여율 역시 2008년 30.0%, 2020년 36.9%로 증가했다. 특히 65~69세의 경제활동 참여율은 2008년 39.9%에서 2020년 55.1%로 무려 14% 이상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공공기관의 노인 일자리 외에도 지속가능한 민간 영역의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도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2011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고령자친화기업은 직원 다수가 만 60세 이상으로 구성된 기업을 설립하면 최대 3억 원을 3년에 걸쳐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48개 기업이 신규로 선정돼 총 301개가 됐다. 

또 중소·중견기업이 60세 정년을 넘은 고령자를 계속 고용할 경우 정부가 인건비의 일부를 지급하는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의 지원 대상도 이달 들어 확대됐다. 지난 해 신설된 계속고용장려금은 정부가 정년을 60세로 유지하는 상황에서 기업이 자율적으로 정년 연장, 정년 폐지, 재고용 등을 통해 고령자를 계속 고용하도록 지원함으로써 고령자에게는 고용 안정을, 기업에겐 숙련된 인력을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고령자친화기업 사업유형 및 지원내용(출처=보건복지부)
고령자친화기업 사업 유형 및 지원 내용.(출처=보건복지부)


어머니 친구 분도 작은 회사의 행정 업무를 30년 이상 맡아서 일하고 계신다. 회사로서는 믿을 수 있는 사람을 장려금까지 받으며 고용할 수 있어서 좋고, 어머니 친구 분은 나를 믿고 일을 맡겨주는 회사에서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다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으니 그야말로 일석이조인 셈이다. 

대한민국은 2026년이면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된다고 한다. 해가 갈수록 노인 일자리 문제는 더욱 심각한 우리 사회의 화두가 될 것이다. 백세시대라 할 정도로 인간의 수명이 길어진 만큼 고령층의 안정적인 일자리를 위해 정부와 기업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김명진 uniquekmj@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