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아차, 건강검진!

2021.12.24 정책기자단 김윤경
인쇄 목록

비슷비슷한 생활에 익숙해진 걸까. 어느새 2021년이 일주일도 채 안 남았다는 걸 깨달았다. 

시간이 빠른 건지, 내가 느린 건지, 문득 이만큼 와버린 날짜를 보고 화들짝 놀랐다. 혹 미뤄둔 건 없었나? 부랴부랴 다이어리를 펼쳤다. 

얼마 전, 받은 2021 건강검진 안내문.
건강검진 안내문.


‘아차, 건강검진!’ 

언젠가 국민건강보험공단서 온 건강검진 안내문이 생각났다. 맙소사, 이런? 중요한 건강검진을 잊고 있었다. 생각해봐도 어처구니가 없었다. 올해 가장 신경 쓴 게 건강이었는데, 막상 병원 가는 건 줄어서 그랬나 싶다.  

안내문을 찾아보니 홀수년도 생인 내가 받을 검사 항목들이 쭉 적혀 있었다. 빨리 받았어야 했었는데. 올해 말까지 남은 시간이 별로 없다. 더욱이 연말이라 은근 바쁘기도 하다. 코로나19 확산세가 늘어난 지금 병원에 가는 것도 썩 내키지 않았다. 

검진을 받을 수 있는 병원을 알아보자.
검진을 통해 평소 건강관리에 신경을 쓰는 게 중요하다.


그렇지만 국가건강검진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검진을 받은 쪽이 심뇌혈관 질환 사망률 42%, 질환 발생률 18%가 낮으며 의료비도 적다는 발표를 굳이 들지 않아도, 우린 잘 알고 있다. 또 직장인인 경우, 본인은 물론 사업주가 과태료를 낼 수도 있다.

병원에서 국민건강보험 국가건강검진을 알리고 있다.
병원에서 국민건강보험 국가건강검진을 알리고 있다. 이때 받았어야 했는데.


다 미루고 검진부터 받아야 하나 싶어, 살짝 머리가 아플 때였다. 다행스러운 소식이 들렸다. 코로나19로 인해 한시적으로 국가건강검진 기간이 내년 6월까지 연장됐다는 내용이었다. 공단에 확인 전화를 걸었다. 

“저, 올해 일반 건강검진과 암 검진 기간이 한시적으로 연장된다고 들었는데요.”
“네. 올해 안에 못 받으면 2022년 1월 3일 이후,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혹은 해당 사업장에 신청하셔야 합니다.”

담당자는 내게 가입 형태와 세부사항을 물었다. 개인마다, 또 검진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사무직은 사업장에서 일괄 신청을 할 수 있고요. 혹, 지역가입자이거나 피부양자로 개인이 신청할 경우, 보이는 ARS 및 공단지사에 방문이나 전화로도 할 수 있습니다.” 

보이는 ARS 전년도 미수검자 안내 <출처=국민건강보험공단>
보이는 ARS 전년도 미수검자 안내.(출처=국민건강보험공단)


비사무직 근로자의 경우는 또 다르다. 1년 주기 검진 대상자이므로 올해 받지 못 해도, 별도 신청 없이 2022년 6월까지 검진을 받을 수 있으며, 본인 의사에 따라 2022년 하반기에 추가로 받을 수 있다. 난 2022년 상반기에 건강검진을 받고 나서, 2023년에 원래대로 받으면 된단다. 보다 더 자세한 건 문의해보자.

주변 가까운 병,의원에서 받도록 하자.
굳이 먼 곳이 아닌 주변 가까운 병의원에서 받는 걸 권고하고 있다.


한숨 돌리고 주변을 둘러보니, 못 받은 친구들이 더러 있었다. 또 확진자가 많아져 지금 검사받기가 망설여진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나 역시 코로나19 확산이 줄어들고, 좀 여유롭게 받고 싶다는 데 공감한다. 

물론 최우선은 검진을 미루지 말고, 제때 받아야 하는 게 맞다. 건강이란 기다려주지 않으니까! 그래도 코로나 상황인 만큼, 여유롭게 안심하며 받고 싶거나 나처럼 깜빡한 사람에겐 포기하지 않아도 될 고마운 기회다. 올해 건강검진을 놓쳤다면 꼭 기억하자. 내년 1월 3일 이후, 공단 지사, 고객센터를 통해 추가 등록이 가능하다.   

내년에는 코로나를 비롯한 건강에 대한 좋은 소식이 많아지길.
내년에는 건강한 소식이 많이 들리길.


2022년 새 다이어리를 펼쳤다. 또박또박 1월 3일 ‘건강검진 신청’을 잊지 않도록 적었다. 2022년에는 건강하길 무엇보다 바라면서!  

문의 :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1577-1000),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김윤경 otterkim@gmail.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