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국민연금 가입, 학생이나 전업주부도 가능하다고요?

2022.03.24 정책기자단 김민정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얼마 전, 19살이 되었을 때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한 우편물이 도착했다. 국민연금은 소득이 없는 사람이라도 임의로 가입이 가능하며, 2021년에는 전년 대비 임의가입자가 59%나 늘었다는 것이었다

우편을 받고 나서 소득이 없는 20대 초반의 학생인 나도 국민연금에 가입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니 국민연금이라는 제도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다. 고등학생 시절 사회 수업 시간에 종종 배우기는 했지만 과연 어떤 내용의 사회복지제도이며, 어떻게 가입을 하고, 또 어떻게 운용이 되는지 자세히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온 우편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온 우편물.


혹시 주변에 가입한 사람이 있을까 싶어 같은 또래인 친구들에게 국민연금에 대해 아느냐고, 혹시 너도 이 우편을 받았냐고 물어봤지만 우편은 받았어도 가입은 하지 않았다는 친구들이 많았다. ‘우리 세대 때는 못 받는 거 아냐?’라고도 했다. 이 말을 듣자 정말 그럴까라는 의문도 생겨났다. 

이렇게 여러 가지 궁금증과 의문을 어떻게 잘 풀어볼까 이곳저곳 알아보던 차 국민연금공단 담당자와 인터뷰를 할 기회가 생겨 궁금한 사항들을 물어봤다. 

Q. 소득자가 아니라도 국민연금에 가입할 수 있나요?
A. 가입할 수 있습니다소득자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본인이 희망할 경우 가입이 가능합니다예외적으로 외국인일 경우 등을 제외하고는 내국인인 경우 만 18세 이상이면 모두 가능합니다.

Q. 임의가입할 경우 가입 가능한 상품이 나눠져 있나요?
A. 상품은 국민연금 단일 상품입니다보험료만 달라지는 형식입니다보험료는 보통 9만 원 이상 금액으로 본인이 희망하는 보험료로 가입하게 되어 있습니다.  

Q. 국민연금에 가입할 경우얻게 되는 이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A. 첫 번째는 노후에 연금을 받게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두 번째는 본인이 혹시 장애를 입었을 때 장애 일시금 또는 장애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고세 번째로 본인의 부모님이 사망하셨을 경우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본인 노령연금본인 장애연금그리고 유족의 유족연금이 세 가지가 큰 이점입니다.

국민연금 앱 설치 페이지.
국민연금 앱 설치 페이지.


Q. 20대 초중반 등의 또래들이 국민연금에 대해 혹시 못 받지 않을까 하는 오해가 있는 것 같은데요?
A. 아닙니다. 국민연금은 지금까지 보험료 조정이나 지급액 조정을 4번 했습니다. 현재 보험료 수입과 지출, 그리고 기금 규모를 봐서 5년마다 한 번씩 조정을 하게끔 되어 있습니다. 내년에도 또 재정 계산이라고 해서 보험료 수입과 지출을 계산해서 조정합니다. 어느 나라든 연금 지급이 불가능한 상태를 그냥 놔두진 않는다는 거죠. 못 받는다는 건 잘못된 오해입니다.

Q. 국민연금에 가입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A. 제일 쉬운 방법은 국번없이 1355로 전화해서 신청하는 방법입니다. 또 요즘은 모바일이나 인터넷으로도 신청 가능합니다. 또는 지사를 방문해서 상담 후 신청도 가능합니다.

Q. 20대부터 국민연금에 가입하게 된다면 어떤 이점이 있을까요?
A. 일단 가입 기간이 늘어나고, 연금 금액이 많아지니까 유리한 면이 있습니다. 물론 연금은 가입 기간과 납부액을 기준으로 연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조금 늦게 가입했다고 해서 젊었을 때부터 가입한 사람보다 연금을 적게 받는다는 건 아닙니다만, 같은 금액을 납부한다고 하면 기간이 길 수록 부담을 좀 덜 수 있겠죠. 

Q. 중간에 잠시 납부를 멈출 수도 있나요?
A. . 소득이 없다면, 본인이 희망할 경우 언제든지 납부예외(중지)가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캠페인 영상.(출처=보건복지부)
국민연금 캠페인 영상.(출처=보건복지부)

 

인터뷰를 하면서 국민연금이 연금을 받는 것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하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국민연금에 대한 의문과 그 외의 궁금증들을 풀 수 있었고,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채팅상담뿐만 아니라 수어상담도 있는 것을 보고 다양한 사람들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도 새롭게 알게 됐다. 나도 되도 20 .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김민정 ulaula03@naver.com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