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전통놀이 즐기러 ‘우리놀이터’에 다녀왔어요!

2023.03.20 정책기자단 한아름
인쇄 목록

나들이하기 좋은 계절이 돌아왔다. 살랑거리는 봄 날씨에 어디로든 떠나고 싶은 마음이 들어 이곳저곳 가 볼 만한 관광지를 물색하던 중 ‘우리놀이터’란 곳을 알게 됐다. 우리 고유의 전통놀이를 모든 세대가 함께 체험할 수 있는 전통놀이 문화공간이라고 해 아이와 주말에 다녀오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현재 전주, 고양, 경주, 양주, 서울, 파주 등의 지역에서 총 6개 소가 운영되고 있는데 이중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에 개관한 우리놀이터를 방문해 보게 됐다.

경기도 양주 시립회암사지박물관에 조성된 <우리놀이터> 전경. 현재 전주 한옥마을과 경기도 고양어린이박물관, 경주엑스포공원, 경기도 양주 시립회암사지박물관을 비롯해 국립민속박물관 서울관과 파주관 등 총 6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경기도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에 조성된 ‘우리놀이터’ 전경. 현재 전주 한옥마을과 경기도 고양어린이박물관, 경주엑스포공원, 경기도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을 비롯해 국립민속박물관 서울관과 파주관 등 총 6개 소가 운영되고 있다.

고양어린이박물관, 경주엑스포공원에 이어 3번째로 문을 연 이곳 우리놀이터는 지난해 5월 정식 개관했으며 전통놀이를 현대화한 놀이를 체험할 수 있도록 ‘우리놀이마루’, ‘우리놀이마당’이라는 두 개의 공간으로 조성돼 있었다. 

도착해 가족들과 자리를 잡고 어떤 놀이를 체험할 수 있는지 둘러봤다. 먼저 우리놀이마루에서는 윷놀이, 실뜨기처럼 익숙한 전통놀이를 비롯해 산가지, 고누, 주령구 등 다소 생소하게 들리는 전통놀이들을 현대화시킨 교구재가 전시돼 있었다. 

우리놀이터에서 만나볼 수 있는 다양한 전통놀이.
우리놀이터에서 만나볼 수 있는 다양한 전통놀이.

또 교구재를 테이블로 가져와 직접 사용할 수도 있었는데 아이는 마치 보드게임방에 온 것 같다며 체험 시작 전부터 설레는 기분을 감추지 못했다. 가장 처음 도전해본 것은 ‘남승도’다. 윤목을 굴려 나오는 숫자에 따라 명승지 칸을 옮겨 다니며 가장 먼저 돌아오는 사람이 이기는 놀이로 마치 부루마블 같았는데, 지역 내 유적이나 유물 등에 대해 배워볼 수 있어 꽤 유익했다.

또 ‘쌍륙’이란 놀이도 해봤다. 두 사람이 두 개의 주사위를 굴려 주사위 숫자대로 판 위에 말을 써서 먼저 나가면 이기는 방식으로, 혜원 신윤복이 그린 ‘쌍륙삼매’란 작품에 이 놀이가 그대로 나타나고 있기도 해 상당히 흥미롭게 다가왔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도 오래전부터 보드게임과 같은 놀이를 다채롭게 즐겼다는 점이 재밌게 느껴지기도 했다.

다양한 전통놀이 종류를 살펴보고 있는 아이의 모습.
다양한 전통놀이 종류를 살펴보고 있는 아이의 모습.

다음으로 우리놀이마당에서는 IT 융복합형 미디어 체험을 해볼 수 있었다. 바닥에 펼쳐지는 화면을 이용해 디지털 팽이를 쳐보거나 사방치기, 고누 등의 미디어 놀이를 즐길 수 있다고 한다. 아이가 팽이치기를 해보고 싶다고 해 도구를 대여해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해 놀아볼 수 있었다.

한편 이 같은 방식으로 전통놀이를 접해볼 수 있게 된 배경에는 전통놀이문화 조성 확산을 위한 정책이 자리한다. 현대적 디자인과 디지털을 접목해 개발한 현대화된 전통놀이를 국민들이 손쉽게 만나볼 수 있도록 우리놀이터란 공간에서 선보이고 있는 것이다.

향후 이곳 우리놀이터를 ‘전통놀이, 생활문화 거점공간’으로 확대·강화하고 명실상부 전통놀이와 전통생활문화의 대표 브랜드 공간으로 재탄생시킬 계획이라고 한다.

팽이를 비롯해 실뜨기, 쌍륙, 남승도 등 여러 전통놀이를 한번에 즐길 수 있어 만족스러웠다.
팽이를 비롯해 실뜨기, 쌍륙, 남승도 등 여러 전통놀이를 한번에 즐길 수 있어 만족스러웠다.

먼저 더 많은 이들이 어렵지 않게 전통놀이를 접할 수 있도록 지자체, 유관기관과 협력해 전국에 우리놀이터를 확대 조성한다고 밝혔다. 

더불어 유아 및 초중고생 대상의 전통생활문화 교육과 24절기를 비롯한 우리나라의 세시풍속 행사, 전통놀이를 체험할 수 있는 ‘우리놀이 한마당’ 축제, 궁궐 등 전통공간의 메타버스 체험 등 전통생활문화와 관련한 각종 체험·교육·행사 등을 우리놀이터에서 집중 개최할 예정이라고 한다.

다채로운 전통놀이를 경험하며 여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 전국적으로 조성된다고 하니 반갑게 느껴진다. 앞으로 우리놀이터가 활성화되며 일상에서 점점 멀어져 가던 우리 전통문화가 자연스레 되살려질 것으로 기대가 된다. 특히 아이들에게 유익한 체험이 풍성하게 제공될 듯해 주말에 가족들과 종종 방문해보고 싶다!



정책기자단 한아름 사진
정책기자단|한아름hanrg2@naver.com
더 깊게 느끼고, 질문하는 글쓴이가 되겠습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