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께 드리는 윤석열정부 국정운영 보고 민생·경제 FIRST 퍼스트 내용보기

콘텐츠 영역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기원합니다

2024.11.26 정책기자단 정수민
글자크기 설정
인쇄 목록

11월 같지 않은 따뜻한 기간이 끝나고 본격적으로 겨울 추위에 접어들었다. 이맘때 쯤이면 생각나는 것이 있다. 바로 김장이다. 마트에서 절인 배추 주문 안내판을 보니 본격적으로 김장철이 되었다는 것이 체감되었다. 요즘은 주로 김치를 사먹지만 김장은 우리 삶에 없어서는 안 되는, 여전히 살아 숨쉬고 있는 전통 문화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식문화 김치와 김장(출처: 국가유산진흥원)
한국을 대표하는 식문화 김치와 김장.(출처=국가유산진흥원)

한국인하면 떠오르는 김치, 그리고 이 김치를 담그고 나누는 문화인 ‘김장’은 2013년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었다(‘김치’가 아니라 김치를 만드는 문화인 ‘김장’이 등재되었다!). 이후 2017년에는 ‘김치 담그기’라는 이름으로 국가무형유산에 지정되어 보존 및 전승되고 있다. 

오랜 시간 이어져 내려오는 씨간장 장석
오랜 시간 이어져 내려오는 씨간장 장석.

김장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월동 준비가 또 있다. 장 담그기이다. 장 담그기는 콩을 사용해 만든 간장, 고추장, 된장 등의 식품을 넘어 재료를 준비해 장을 만들고 발효시키는 전반적인 과정을 포괄한다. 고대부터 장을 담가 먹었다는 흔적이 있을 만큼 장 담그기는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누구나 향유하고 전승할 수 있는 생활관습이자 문화라는 점에서 김치 담그기와 마찬가지로 특정 보유자나 단체를 인정하지 않는 공동체 종목으로 2018년 국가무형유산에 지정되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권고 판정을 받은 <한국의 장 담그기>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권고 판정을 받은 <한국의 장 담그기>.

지난 11월 초, 장 담그기와 관련해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다.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 신청한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등재 신청 유산을 평가하는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 산하 평가기구로부터 ‘등재 권고’ 판정을 받은 것이다. 등재 여부는 12월 2일부터 7일까지 파라과이 아순시온에서 개최되는 제19차 무형유산보호 정부간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옛 농촌진흥청가 있던 자리에 2022년 개관한 국립농업박물관
옛 농촌진흥청이 있던 자리에 2022년 개관한 국립농업박물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기원하며 국립농업박물관에서 <기다림의 맛, 시_간>이라는 하반기 기획전을 마련했다. 국립농업박물관은 옛 농촌진흥청 터에 새롭게 지어져 2022년 개관한 국내 최초 농업 박물관이다. 집에서 수원까지, 지하철로만 2시간이 되는 거리였지만 설레는 마음으로 국립농업박물관을 찾았다. 

염순(장아찌로 담근 죽순) 등과 관련된 내용이 담겨 있는 <추사 김정희 간찰>
염순(장아찌로 담근 죽순) 등과 관련된 내용이 담겨 있는 <추사 김정희 간찰>.

1부 <장의 과거를 보다>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이어진 장 문화의 오랜 역사와 그 흔적을, 2부 <생명을 만들다>에서는 장맛을 좌우하는 장독대와 옹기 속 생명 이야기를, 마지막 3부 <과거부터 미래를 먹다>에서는 건강 음식으로 주목받고 있는 발효 식품의 과거 경험과 현대 기술을 담았다. 

지역별 장독대와 옹기 속에서 생명이 탄생하고 자라는 현상을 표현한 미디어 아트
지역별 장독대와 옹기 속에서 생명이 탄생하고 자라는 현상을 표현한 미디어 아트.

유물 전시는 물론이고 옹기 속 생명을 예술로 승화시킨 미디어아트, 메주 틀을 활용한 스피커에서 나오는 자연의 소리 등 현대 예술과 조화를 이룬 아이디어가 돋보였다. 장 문화의 역사, 현재, 미래를 되짚어보고 장 문화의 가치를 나눌 수 있는 뜻깊은 전시였다. 

장이나 술 등을 보관했던 항아리로 추정되는 고구려 항아리
장이나 술 등을 보관했던 항아리로 추정되는 고구려 항아리.

일상에서 매일 먹는 장이지만 사실 역사가 이렇게 오래된 줄은 알지 못했다. 서울 광진구 용마산 2보루 유적에서 고구려인들이 장이나 술 등을 보관했던 항아리로 추정되는 고구려 항아리가 출토되었다. 중국의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는 우리 민족이 장양(장을 잘 담그고 술을 잘 빚는다)을 잘한다는 기록이 있다. 또 조선시대 왕실에는 장을 따로 보관하는 장고를 두었고 왕실은 장을 유독 엄격하게 관리하였다고 한다. 이처럼 한국인과 장은 오래 전부터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이다.

메주와 장에 대한 기록이 있는 <동의보감>
메주와 장에 대한 기록이 있는 <동의보감>.

세계적으로 한류와 K-푸드가 각광을 받고 있다. 슬로 푸드이자 비건 음식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비빔밥, 외국인들이 좋아하는 BBQ인 불고기와 삼겹살에는 고추장과 간장, 쌈장 등이 빠지지 않는다. 또 건강 음식으로서 발효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한국을 대표하는 발효 식품 김치와 장에 대한 관심도 이전보다 증가하고 있다. 특히 모든 것이 빨리빨리 진행되고 있는 이 시대에 오랜 시간과 노력에 걸쳐 탄생하는 장은 우리에게 느림의 미학을 선사한다. 

유네스코 장 담그기 문화 등재 신청서와 동의서
유네스코 장 담그기 문화 등재 신청서와 동의서.

이렇게 장 담그기에는 깊은 역사와 문화, 가치가 담겨 있다. 김장 문화에 이어 장 담그기 역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고대해 봐도 되지 않을까?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대신, ‘doenjang’, ‘gochujang’으로 널리 불릴 그날도 머지않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정수민 amantedeparis@gmail.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